보이스피싱(전화금융사기) 피해가 여전하다. 과거엔 취약계층이나 노인들을 대상으로 했던 사기행각이 이젠 나이와 직업, 지역을 가리지 않는 지능적이고 무차별적인 대상 확대로 인해 사법당국의 주의와 경각심을 위한 대책이 강화되고 있음에도 오히려 증가추세다. 
올 들어 지난 8월까지 전북도에서만 461건의 보이스피싱 피해 신고가 있었고 이들이 당한 피해액만 87억 원에 달했다고 경찰청이 국감자료를 통해 밝혔다. 대출을 미끼로 한 사기가 64억 원이었고 22억 원은 기관을 사칭한데 속아 돈을 넘겼다. 특히 피해를 당한 연령대가 50대 140건으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이 40대, 30대, 20대 순으로 나타나 사회생활을 가장 활발히 하면서 모바일 금융거래에 익숙한 중년층과 젊은 층이 오히려 보이스피싱에 더 취약했다. 여기에 전북청을 통해 보이스피싱 전화번호를 이용할 수 없도록 번호 중지를 요청한 비율이 신고건수 대비 87.9%에 달했다. 이는 경기남부 157.8%, 대구 117.4%에 이어 전국에서 3번째로 많은 것으로 그만큼 전북도민들을 상대로 보이스피싱 전화가 집중됐음을 유추케 한다.
더구나 최근 코로나19로 비대면 접촉이 활성화 됐고 이를 이용한 보이스피싱 범죄는 더욱 지능화되고 있다. 지난 14일 400억 원대 보이스 피싱 범죄를 저지는 일당 22명이 검거됐는데 이들은 중국 전화금융사기 조직 지시로 환전·송금을 담당하면서 수거,전달,인출,환전책 등 역할을 나누는 치밀함을 보인 것은 물론 피해자들이 112로 전화를 걸면 자신들에게 연결되도록 하는 에플리케이션까지 설치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사법 당국의 검거를 위한 노력에 앞서서 범죄조직이 먼저 치고 빠지는 바람에 좀처럼 피해가 줄지 않고 오히려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유관기간들의 적극적이고 다양한 범죄사례의 공유를 통한 효과적인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 보이스피싱 피해는 개인의 삶은 물론 가정 전체를 위기에 몰아넣을 수 있는 악질범죄다. 그런데도 범죄가 줄지 않고 오히려 늘고만 있다. 이를 예방하고 차단할 수 있는 방안이라면 강력한 처벌 강화를 비롯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아야 하는 이유다. 지금도 대포통장1개를 30만원이면 살 수 있다고 하니 근절이 되겠는가. 예방을 위한 당국의 계속된 노력과 함께 의심스러우면 무조건 수사당국에 신고하는 개개인 스스로의 세심한 주의가 더욱 요구되는 지금이다. 보이스피싱, 결코 남의 얘기가 아님을 항상 기억하고 있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