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도전북의 미래를 함께할 청년농가가 빠르게 줄어들고 있다. 농촌고령화가 심각해진 상황에서 이들의 빈자리를 채워줄 젊은 농업인구마저 감소한다는 건 결국 미래전북농업의 근간이 무너질 수도 있다는 점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국회 정운천의원(국민의힘.비례대표)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받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0년 전체 10만9433농가중 40대미만의 청년농가는 2.9%인 3120농가였지만 2015년 1567농가(1.6%), 2017년 1169농가(1.2%), 그리고 지난해에는 9만4753농가중 871농가로 1%에도 미치지 못하는 0.9%로 줄었다.
농업인구 고령화로 농촌에서 젊은 인력 찾기는 하늘의 별따기다. 코로나19로 외국인 노동자 입국이 힘들어지자 당장 농촌 인력난이 심각해질 만큼 젊은 인구 급감으로 인한 우리 농업생산 기반 시설은 이미 위기 국면인 상황이다. 
젊은이들이 떠나는 농촌은 결국 한국미래농업의 위기란 지적에 따라 정부도 2018년부터 청년창업농 영농정착사업을 지원하는 등 나름의 대책을 추진하고는 있다. 40세만, 영농경력 3년 이하 청년농에게 3년 동안 월 최대 100만원의 영농정착금을 주면서 농촌정착을 유도하고 있다.
하지만 매년 1600명을 선발해 그동안 880억 원을 지원했지만 3년 기간 끝난 후 의무영농기간 까지 종료된 청년창업농에 대한 사후대책은 전무한 실정이다. 첫해 지원 받은 청년농의 경우 올해 지원금 지급이 끝나고 내년부터는 지원받은 기간만큼 농촌에서 의무영농을 해야 하지만 정부지원 없이 과연 그들을 붙잡아둘 수 있을지, 지속영농을 위한 자립기반은 갖추었는지 등에 대한 의문만 있지 정착을 장담할 상황은 아니란 것이다.
여기에 전북도 역시 청년 농업인육성 5개년 계획을 통해 오는 2014년까지 1조3754억 원을 투입, 2500명수준의 청년농을 육성할 방침이다. 많은 농업활성화 대책이 포함된 계획이긴 하지만 정부가 앞서 추진했던 청년농육성 사업의 적지 않은 부분에서 문제점이 드러난 만큼 전북도 추진 정책 역시 많은 부분을 되짚어봐야 한다.
40대미만의 젊은 농업 인력비중 감소는 결국 농업의 세대교체 단절로 이어지게 된다. 그리고 삼락농정을 역점 적으로 추진 중인 전북이지만 정작 이를 현장에서 활성화하고 농업발전으로 이끌어 가야할 인력이 없다면 결국 실패할 수밖에 없다. 미래 농업 인력 확보·양성을 위한 정책과 노력을 다시 점검해 봐야 하는 이유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