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각 지자체들이 운영주체인 치매전문병동을 보유한 공립요양병원 상당수가 운영인력부족으로 환자들에 대한 제대로 된 돌봄과 관리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국감자료가 나왔다. 치매국가 책임제를 약속하며 공공차원에서 치매 환자들을 돌보겠다고 했지만 정작 이들을 일선에서 돌보는 전문병원에서 조차 최소한의 기준으로 정해놓은 전문인력도 없이 허술하게 시설이 운영되고 있다는 것이다. 
전북도 예외는 아니어서 지난 9월 기준 도내 공공요양병원(치매전문병동보유) 모두가 치매관리법 시행규칙, 치매안심병원 인력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다. 전라북도남원노인요양병원, 전라북도고창노인요양병원을 비롯해 전주시노인복지병원, 정읍시립요양병원, 부안군노인병원등 5곳 시설에서 생활하는 치매환자가 576명이나 되지만 이들 시설 모두가 신경치매 치료에 필요한 전문의나 임상병리사, 작업치료사가 없거나 아니면 간호 인력부족으로 24시간 전담간호가 지켜지지 않는 등 전문적인 관리가 크게 미흡한 실정이었다.
국회 강선우의원(더불어민주당.강서갑)은 이 같은 공립요양병원의 운영인력 부족이 치매병동을 갖춘 전국 49곳 중 41곳에 달할 만큼 전국적인 문제임을 지적했다. 평범한 가정을 위기로 까지 몰고 가는 치매이기에 이를 국가 차원의 돌봄을 통해 해결하겠다고 했지만 믿을만하다는 공립요양병원들에서 조차 치매정책을 따르지 않으면서 허점을 드러낸 것에 다름 아니다. 
올 9월 현재 우리나라 추정 치매환자수는 75만여 명에 달하고 치매유병률도 10%를 넘겨 노인인구 10명중 1명이상이 치매 환자로 분류될 정도다. 지난 2017년 치매국가 책임제 실시를 발표했을 때 많은 국민들이 큰 기대 속에 절대적인 지지를 보낸 건 그만큼 치매에 대한 국민적 부담이 컸었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질환과 달리 치매는 환자 본인은 물론이고 주변의 가족들 까지 고통을 받게 하는 심각한 질환이기에 더욱 그렇다.
치매 의료비 90%를 건강보험으로 보장하고 치매센터 확대, 치매안심병원 설립, 요양보호사처우개선, 치매환자에게 전문요양사를 파견하는 등의 치매국가 책임제가 실시되면서 치매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늘고 있는 건 사실이지만 아직도 사각지대는 많다. 특히 드러난 사각지대중 한곳이 치매 정책을 선도해야할 공립요양시설이란 점에서 보다 적극적인 개선책 마련이 시급하다. 치매정책의 내실화를 통해 공공부분에서 만큼은 믿고 의지할 수 있는 치매관리가 이뤄지도록 다시 한 번 점검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