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한 도심 주요 공간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도입된 정부의 도시재생 지원사업이 지나치게 수도권에 편중됐다는 지적이 나왔다. 신도시 개발이 한계에 다다르고 재개발이나 재건축위주의 도시 재편성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된 원도심이나 노후지역을 살만한 도시로 만드는 사업이란 점에서 수도권 보다는 오히려 도심쇠퇴에 몸살을 앓는 지역에 더 큰 배려와 관심이 있어야 함에도 현실을 전혀 그렇지가 못한 것이다.
국회 김윤덕의원(더불어민주당, 전주갑)은 주택도시보증공사가 제출한 지역별 도시재생 금융지원사업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북지역의 주택도시기금을 활용한 도시재생 금융지원 실적은 최근 3년간 207억 원으로 전체사업비의 1.8%를 지원 받는데 그쳤다고 밝혔다. 지난 2018년 30억 원의 사업비를 지원받아 전국대비 0.9%였던 비중이 2019년 135억 원으로 증가, 전국비중 역시 3.2%로 늘었지만 올 들어 다시 큰 폭으로 감소세로 돌아섰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같은 기간 수도권에는 전체 예산의 67%인 5천4백여 억 원이 집중 지원됐고 광역시와 특별자치시에도 22.8%가 배정되는 등 전체사업비의 90%가 수도권과 지역 대도시에 집중됐다. 지역균형발전은 물론이고 계속된 인구감소와 빨라진 고령화로 활력을 잃어가며 급격히 도시기능을 상실해 가고 있는 지방 쇠퇴지역에 대한 사업지원이 시급함에도 이를 외면하고 있음이 수치상 드러난 셈이다. 
이명박정부의 뉴타운사업 이후 본격화된 도시재생사업은 정권이 바뀔 때 마다 규모를 키우며 그 필요성을 인정받고 있다. 수요자중심 도시재생이 핵심으로 주택정비에서부터 노후산업단지 재생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도심 활성화 사업에 예산을 지원해 준다. 수익성보다는 공공성에 비중을 두면서 전국 각 지자체들 역시 역점사업으로 추진하고 있기도 하다.
그런데 이런 사업이 이미 도시기능이 활성화된 수도권을 비롯한 광역 대도시 위주로 진행되고 있다. 지역 활성화나 정주환경 개선을 위한 인프라 확충, 노후한 건축물 정비 등의 도시재생이 필요한 지역은 오히려 지방일수록 더욱 절실하다는 점에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지역경제 활성화 부분에 있어 효과가 제한적이라며 문제를 제기하기도 하지만 여기에서 조차 소외돼 기본적인 사업추진 마저 제한적인 전북의 현실은 개선돼야 한다. 도시주력산업의 경쟁력 회복을 통한 새로운 기회창출이 절실한 지역에 대한 배려가 시급하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