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말 종료되는 2단계 새만금호 수질개선대책 종합평가 결과를 앞두고, ‘새만금 해수유통’ 여부가 또다시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정치권과 환경단체 등은 새만금 수질복원사업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 해수유통은 더이상 미룰 수 없는 불가피한 선택이라 주장하고 있지만, 전북도는 해수유통을 논의하는 건 시기상조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논쟁이 예상된다. 

22일 전북도는 새만금호 목표 수질은 3가지 전제조건하에 설정됐다고 밝혔다.

도가 밝힌 전제조건은 ▲올해까지 내부개발이 73% 추진 ▲호내대책을 포함한 2단계 수질대책 정상 추진 ▲새만금호 담수화 상태에서 적정 관리 등이다.

그러나 현재 방수제 등 내부개발 공정율은 38.1%에 불과해 계획 보다 지연된 상태이며, 호내 대책도 추진되지 않아 목표수질 여부를 판단하는 건 다소 무리가 따른다고 설명했다.

특히 각종 공사로 영향을 받은 불안정한 상태의 수질을 바탕으로 가상의 수질을 예측해 해수유통 여부를 논의하는 건 부적합하다고 강조한다.

일각에서는 전제조건이 충족되지 않은 불확실한 수질로 목표 수질 달성 여부를 판단해 해수유통을 결정하게 되면, 새만금개발계획 전면 수정과 내부개발 중단 요구 등 지역갈등만 커지게 되는 꼴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최악의 경우 전북의 숙원 사업인 ‘새만금사업’ 자체가 중단될 수 있는 만큼 신중하게 결정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익명을 요구한 수질 관련 전문가는 “해수유통이 이뤄지면 수질관리 범위가 새만금호에서 외해역까지 확대되고, 수질관리 조건도 달라지기 때문에 수질개선 사업비가 더 투입될 수도 있다”며 “새만금호가 만들어지지 않았고, 용수가 필요한 시점도 아닌 만큼 논쟁거리를 만들기보다는 최적의 수질관리를 위한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러나 ‘해수유통’이라는 환경단체의 주장에 전북 정치권이 힘을 실어주면서 전북도가 기본 입장을 고수하는 건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이에 도 관계자는 “이달 중 새만금 수질개선 2단계 사업에 대한 환경부 평가 용역이 마무리 된다”며 “이와 함께 환경부가 새만금 수질관리 방안의 후속조치를 위한 별도의 용역에도 착수했기 때문에 이를 종합적으로 검토해 도의 입장을 밝히겠다”고 말했다./박은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