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47이면 전북인구가 160만 명에도 미치지 못할 것이란 우울한 전망이 나왔다. 출생아수 급감에 노령인구 급증으로 인한 경제인구 감소가 가져올 생산성 저하와 이로 인한 지역경제력 약화는 필수적이란 점에서 ‘더욱 가난해질 전북’에 대한 걱정이 더해진다.
호남지방통계청이 지난 3일 통계의 날을 맞아 내놓은 ‘100대 통계지표로 본 전라북도 변화상’보고서의 내용은 한마디로 ‘암울’이다. 한때(1973년) 250만 명에 달했던 인구 감소세가 그치지 않으며 올해 179만 명으로 주저앉았고 26년 뒤인 2047년이면 158만3천명으로 까지 내려갈 수 있단 전망이다. 이에 반해 이미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전북의 고령인구는  43.9%로까지 늘어나면서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부담해야해야할 총부양비가 올해 48명에서 2047년엔 110.4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생산연령 인구 1명당 1명이상의 노인을 부양해야 한다는 의미로 지난해 합계출산률이 1명 아래로 떨어졌고 연간 출생아수 역시 지난해 1만 명이 붕괴되는 등 노동인구는 빠르게 감소하는 반면 고령인구만 느는데 따른 심각한 부작용을 예고하고 있다.
여기에 지난해 기준 도민 가구자산 2억8000여만 원은 전국 9개도 가운데 가장 낮은 수준이고 2018년 개인소득 역시 1억8000여만 원으로 꼴찌였다. 전북이 가난하고 미래가 어두운 것은 물론 도민들 개개인의 경제적 여유 역시 전국 최하위 수준에 머물고 있음이 확인된 통계다. 
인구감소는 물론 국가적인 과제다. 인구가 감소하더라도 개개인의 역량이 우수한 ‘사람경쟁력이 강한’ 국가를 구축하겠다는 게 정부의 방침이기도 하다. 하지만 미래 국가위기를 전북이 가장 앞에서 아픈 경험으로 받아들이게 게 될 수도 있음을 배제할 수 없는 게 현실이다. 생활이나 산업기반 붕괴로 인해 30년 뒤 소멸될 지자체가 100곳에 달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고 도내 지자체도 절반이상이 여기에 포함되는 것으로 분류되는 있지만 이를 당연시 하면 정말 미래는 없다.
저 출산 고령화 문제의 심각성이 이미 10년 전부터 제기돼왔고 이의 해결을 위해 그동안 200조원이상의 예산이 투입됐지만 오히려 상황은 악화되고 있다. 실효성 없는 정책들이었고 헛돈을 쓴 것에 다름 아니다. 지역이 살아야 국가가 유지될 수 있음을 정책의 우선에 두고 새로운 틀을 짜야한다는 지적에 귀를 기울여야한다. 사람이 경쟁력이듯 작지만 강한 지자체 역시 든든한 힘이 될 수 있음을 정부의지로 보여줘야 한다. 지역을 위한 정부의 빠른 걸음을 촉구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