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대 통계지표로 본 전라북도의 모습은 다소 우울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가능인구는 지속적 감소를 보이면서 고령인구는 급속도로 증가해 총부양비율이 100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됐기 때문이다.

이뿐만 아니라 도민 1인당 개인소득은 20년 전보다 136.1%나 증가했는데, 여전히 가구자산과 더불어 9개 도(道) 중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 '가난한 전북'을 탈피하기 위한 노력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호남지방통계청이 통계의 날(9월 1일)과 통계청 개청 30주년 및 호남지방 통계청 광역화 11주년 기념 특별기획으로 기획한 '100대 통계지표로 본 전라북도 변화상'을 3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북 인구는 올해 179만 2천명에서 향후 2047년 158만 3천명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할 전망이라고 나타났다. 반면, 고령인구는 빠르게 증가해 생산연령인구 100명 당 부담하는 총부양비가 2020년 48명에서 2047년엔 110.4명까지 이를 전망이다.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고령인구의 부양을 지탱하는 근간인 생산가능인구, 그 중에서도 합계출산율은 1993년 통계가 시작된 이해 처음으로 1명 아래로 떨어져 2019년 0.97명으로 집계됐으며, 출생아 수 또한 1981년 통계작성 이후 처음으로 1만 명이 붕괴되면서 긍정적인 상황은 아닌 것으로 분석됐다.

게다가, 중학생은 2007년 이후 10년 넘게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어 학령인구의 감소흐름도 도내 인구상황을 어둡게 하는 요인으로 꼽혔다.

세월이 흐르면서 소비자물가도 크게 올랐는데 지난해 소비자물가지수는 104.5로 30년 전인 1990년(40.1) 대비 160.8%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가장 크게 상승한 부분은 교육비로 1990년 대비 290.1%나 폭증했다. 특히 사립대학교 납입금은 30년 새 332.9% 상승했는데 이를 가격으로 환산하면 80만 원에서 350만 원으로 오른 셈이다.

도민들의 가구자산은 지난해 기준 2억 8천여만 원으로 2012년 2억 1천여만 원에 비해 32.5%가 증가한 것이지만 이는 9개 도(道) 가운데선 가장 적은 수준으로 조사됐다. 증가율도 충북(15.9%)과 충남(18.4%), 경기(21.4%), 경남(26.9%)에 이어 다섯 번째로 낮게 나타나 하위권에 머물렀다.

개인소득 역시 2018년 기준 1억 8천여만 원으로 2000년 7천 6백만 원에 비해서는 136.1%나 증가했지만 이 역시 9개 도(道) 중 가장 낮아서 도민들의 경제적 상황 개선을 위한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밖에도 전북의 서비스업 사업체 수는 2006년 이후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며 2018년 기준 4만 2천여 개로 집계됐으며, 농가소득은 유일하게 전국 평균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농도(農道)의 자존심을 지켰다. /홍민희기자·minihong2503@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