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바이오산업 육성을 위해 전력을 다하고 있지만, 정작 산업 발전을 이끌 인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지역에 인력을 정착시킬 방안도 마땅치 않아 바이오산업 생태계 구축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전북지역 약대, 한의대, 생명공학 계열 졸업생은 1년에 2~300명이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그러나 이들 인력을 수용할 기업이나 기관이 적어 바이오산업을 이끌 인력들이 지역을 떠나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연구개발-임상-신뢰성 검증-생산’으로 이어지는 바이오헬스케어 벨류체인 등의 인프라 구축이 미비하고 정주여건 마저 좋지 않아 기업을 끌어 올 묘책도 없어 지역 상황에 맞는 전략 고민이 필요해 보인다.
전북도는 정읍에 소재한 첨단방사선연구소, 한국생명과학연구원, 안전성평가연구소 등 집적화된 바이오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지역 연구기관과 공동으로 바이오산업을 육성,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선도하겠다는 의지를 갖고 있다.
5일 도에 따르면 도는 신약개발 등은 지자체에서 진행하기 어려운 만큼, 상대적으로 진입장벽이 낮은 화장품이나 의료기기, 식품 등에 대한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문제는 인력 확보와 생태계 구축이 미흡하다는 점이다.
한국바이오협회가 발표한 ‘2018 바이오산업 인력수급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전북지역 바이오산업 인력은 876명으로, 전체 4만7047명 가운데 1% 밖에 되지 않는 수치다. 
바이오산업 인력이 가장 많은 곳은 경기지역으로 1만4109명이나 보유하고 있으며, 충북(7533명), 서울(6755), 인천(5397명)이 그 뒤를 이었다.
바이오산업에 대한 투자 규모도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지역의 연구개발비는 152억4700만원으로, 평균 투자액이 5억4500만원 수준이다. 반면 경기도의 평균 투자액은 21억2400만원, 강원도 13억1400만원, 전남 9억 6000만원 등에 달했다. 이는 결국 바이오산업의 연구개발을 선도할 인력 양성과 생태계 구축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다는 의미로도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지자체와 유관기관, 기업 등이 연계해 ‘일 할 수 있는 인력’을 양성할 수 있도록 바이오 단지 구축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있다.
도 역시 미래 주력산업으로 각광받고 있는 바이오산업을 키우기 위해 여러 가지 방안을 놓고 고민중이다.
도는 현실적으로 바이오헬스 관련 기업이 지역에 내려오기 어려운 만큼, 바이오산업 관련 석·박사 등을 대상으로 지역에서 창업할 수 있도록 지원금을 제공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또 식품 바이오에 강점을 갖고 있는 만큼, 식품 베이스 유효성 데이터를 활용해 ‘천연물’ 로 다양한 형태의 바이오산업을 육성시키겠다는 계획도 있다.
오송과 대구·경북처럼 국가 집적화 단지 개념의 복합단지 구축도 테크노파크와 준비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도 관계자는 “대도시로 떠나는 인력이 지역에 머물 수 있는 환경 조성과 함께 바이오산업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고민을 하고 있다”며 “지역의 강점을 살릴 수 있는 쪽으로 그림을 그려나가겠다”고 말했다./박은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