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주택의 노후화가 심각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말 기준 도내 30년 이상된 노후주택은 14만7000여동에 달한다.

이는 전체 주택 27만1268동 가운데 54%에 달하는 수치로, 10동 중 5동은 지은 지 30년이 넘었다는 의미다.

3일 전북도에 따르면 현재 준공 후 30년이 된 다세대, 단독, 아파트, 연립 노후주택은 14만 7284동에 이른다.

시군별로 살펴보면 ▲전주시 2만5144동 ▲군산 1만5839동 ▲익산시 2만5608동 ▲정읍시 1만1478동 ▲남원시 1만 3506동 ▲김제시 1만1741동 ▲완주군 8108동 ▲진안군 4939동 ▲무주군 4532동 ▲장수군 4737동 ▲임실군 2638동 ▲순창군 5124동 ▲고창군 1260동 ▲부안군 1만2630동이다. 

전국적으로는 30년 된 다세대, 단독, 연립 노후주택이 308만 4267동에 이른다.

국가통계포털 자료(2019년 8월 기준)를 보면, 지역별로 서울시가 50만 8928동으로 노후주택 수가 가장 많았다. 이어 경기도가 35만2418동, 경북 28만5437동, 부산 27만8765동, 전남 26만2302동, 경남 25만4140동, 전북 18만3761동, 충남 16만 6162동, 강원 14만1153동, 인천 13만 5222동, 대구 13만4609동, 충북 12만 4411동, 광주 8만1093동, 대전 7만3976동, 제주 4만7797동, 울산 4만6151동, 세종 7942동 순으로 조사됐다.

문제는 30년 이전 건축물은 내진설계라는 개념조차 없어, 노후주택은 잠재된 시한폭탄이나 다름없다는 점이다.

최근 몇 년간 우리나라는 지진 영향권에 포함되어 있었다.

실제 2016년 경주에서 규모 5.8의 강력한 지진 현상이 나타나 부상자 23명, 자산피해 5000건이 발생했다. 이로인해 경주지역은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되기도 했다.

2017년에는 경북 포항에서 5.4 규모의 지진이 발생, 온 국민을 공포로 몰아넣었다.

포항지진의 피해 규모는 경주 지진보다 훨씬 컸으며, 다음날 예정되어 있던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최초로 연기되는 초유의 사태가 일어나기도 했다.

이 같은 사태가 전북에서 발생하지 않으리란 법은 없다.

올 들어 전북지역에서도 2.0 이상의 지진이 월별로 발생했다.

3월 군산 어청도 해역에서 규모 2.0 지진이 관측됐으며, 이후 48일만인 4월 27일 장수에서 2.8 규모의 지진이 발생했다.

또 5월 완주에서는 2.8 규모의 지진이 발생해 지진 영향권에서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이다.

별다른 피해는 없었지만, 전문가들은 노후주택과 건물이 지진 등 자연재해에 취약할 수 있는 만큼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내진설계 보강 등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이에 전북도는 공공시설물 내진보강을 위해 약 200억원을 확보, 공공시설물 내진확보율 향상에 집중하고 있다.

민간 건축물의 내진보강 활성화를 위해 지진 안전 시설물 인증 지원사업 수수료의 90%를 보조금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내진설계 성능평가 비용도 일부 제공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국가에서 현재 공공시설물 내진보강 기본계획을 실시하고 있다”며 “2016년부터 올해까지 2단계 내진보강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데, 전북도 이에 발맞춰 관련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도에서는 30년 이상 된 건물에 대해서는 내진보강사업을 권장하고 지원책을 홍보하고, 건물 안전성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박은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