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전북혁신도시를 자산 운용 금융 중심지로 육성하겠다는 안을 내놨다. 전국 10개 혁신도시의 내실화와 생태계 구축을 위해 지역 혁신도시별로 특화된 자체 발전 동력 확보 차원에서 집중 지원 사업을 선정했고 전북은 국민연금공단을 중심으로 한 자산운용에 특화된 금융산업 중심지로 육성하겠다는 방침을 지난달 30일 경제장관회의를 통해 확정한 것이다.
수도권과밀화를 막고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지난 2005년부터 시작된 153개 공공기관의 지역 혁신도시로의 이전은 지난해 모든 사업을 완료 했음에도 당초 기대했던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아온 게 사실이다. 특히 지역 중심기관으로의 정착을 통한 지자체 성장동력으로의 역할은 실망수준인 곳이 적지 않다. 
혁신도시를 통한 인구유입을 기대했지만 대부분 공공기관 직원들의 나 홀로 거주로 인해 주말이면 혁신도시는 텅빈 도시가 되곤 한다. 지역인재 채용도 전주시를 비롯한 지자체의 강력한 집단요구를 통해 겨우 생색내기에 불과한 ‘의무채용비율 확대’에 만족해야 할 수준이다. 지역이나 지자체와의 동화는 사실상 없다 해도 과언이 아닌 상황으로 이전을 전후해 반짝했던 지역에 대한 관심도 점차 사라지고 있단 지적이다. 당연히 도민들의 이에 대한 기대치 역시 낮아질 수밖에 없고 이제는 혁신도시에 어떤 기관들이 입주해 있는지 조차 자세히 모를 정도로 간극이 커진 실정이다. 공공기관 추가 이전의 필요성이 요구되는 것도 이 같은 1차 이전 공공기관들의 지역상생 의지를 다시 독려하고 새로운 성장 동력 확보를 통한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해야 할 필요성 시급하기에 그렇다. 
이번에 정부가 내놓은 활성화 방안에 대해 벌써부터 그동안 기관들이 이미 내부적으로 기본 방침을 정하고 추진해왔던 것으로 단지 성과가 없었을 뿐이란 비판이 나오고 있다. 몰라서가 아니라 의지가 없었기 때문이란 것이다. 전북혁신도시 자생적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금융타운조성에 정부 재정을 지원하고 수도권 자산운용사 지방이전에 대한 보조금을 약속하는 등의 지원책에 기대가 되면서도 미덥지 못한 이유다.
정부가 나서지 않는 한 지방이전 공공기관이 지역균형발전의 중심은 될 수 없음이 확인되고 있다. 정권의 역점 추진 정책이 없는 것 보다는 낫다는 평가를 받아서야 되겠는가. 공공기관 추가이전을 비롯한 보다 강력한 정책적 지원과 실효성 있는 대책만이 그나마 성과를 끌어올릴 수 있음을 정부는 알아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