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가 덮치기 전, 지구는 이미 온난화로 심각한 병증을 겪고 있었다. 혹한의 땅 시베리아에서 더위와 산불 피해가 커지고, 우리나라에서는 최근 매미나방과 대벌레 등 해충이 전국에 창궐하면서 농작물과 산림 생태계를 해치고 있다. 중국과 일본, 우리나라에서의 높은 강우량도 기후문제와 연관이 있다.
이런 와중에 정부가 코로나와 기후온난화, 실업 등 경제문제를 한 번에 잡겠다며 한시적 한국형 뉴딜 정책을 발표했다. 코로나19로 잔뜩 움츠러든 경제를 살리기 위해 내놓은 6년짜리 정책인데, 디지털 뉴딜, 그린 뉴딜, 고용·사회 안전망 뉴딜 등이 그것이다. 디지털 뉴딜과 그린 뉴딜이 쌍끌이 마차로 일자리를 늘리고 환경도 보호하면서, 고용·사회 안전망이 뒤를 받쳐주는 구조다. 경제, 일자리, 환경을 해결하는데 적합한 정책으로 평가받고 있다. 정부는 이 사업에  160조 원을 투입해 일자리 190만 개를 새로 만들기로 했다.
코로나19 때문에 언택트(비대면) 산업이 증가하면서 새로운 사업체와 일자리 창출이 예상된다. 이에 정부는 데이터를 한 곳에 모아 각 분야에서 활용토록 함으로써 새로운 사업과 일자리가 창출되길 기대하고 있다. 이 때 각 분야에서 모인 데이터를 표준화시키고, 데이터 유통이 원활하도록 2025년까지 5G 인프라를 전국의 70%로 늘리며, 데이터 관리를 인공지능에게 맡기는 과정에서 일자리가 늘어나는 게 디지털 뉴딜이다.
그린 뉴딜은 친환경 사업을 국가가 주도해서 지구와 경제 모두 살려보겠다는 정책인데, 정부는 여기에 가장 많은 73조4000억 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어린이집, 보건소 등 오래된 공공시설을 환경에 피해가 적은 방식으로 리모델링하고, 학교 지붕에는 태양광을 설치하며, 더러워진 녹지와 바다는 살리기로 했다. 택시와 버스부터 전기·수소차로 바꾸고, 오래된 경유차는 폐차하도록 지원하며, 아파트에는 스마트전력망을 세워 에너지 낭비를 줄이는 것도 포함된다. 환경을 보호하는 신기술을 개발하도록 기업에도 투자한다.
이와 함께 고용보험 가입자 수와 실업급여를 늘리고, 아플 때 쉬도록 상병수당을 만드는 등 어려운 사람을 최대한 돕겠다는 게 고용·사회 안전망 뉴딜이다. 정부는 지출 구조조정으로 예산을 확보해 관련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했다. 코로나 여파로 세계 경제가 답답하고, 곳곳에서 기후변화 병세가 심각해지고 있다. 한국형 뉴딜이 큰 해결책이 되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