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6일 국무총리 주재로 제3차 규제자유특구위원회를 열어 전북을 탄소융합복합산업 규제자유특구로 지정했다. 전주시, 군산시, 완주군이 포함된 자유특구에서 2024년까지 10개 기업과 6개기관이 탄소섬유강화 플라스틱이 적용된 소형선박에서부터 압축수소가스 이송용 튜브트레일러 제작 및 탄소복합재 경량 소화수탱크 소방특장차 실증 등의 사업을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이들 사업에는 효성첨단소재 전주공장에서 생산된 탄소섬유만을 사용하게 된다고 한다.
전북이 지난 15년 동안 공을 들여 육성한 탄소산업이 정부가 인정한 전략사업임을 확인받은 것으로 특구지정을 통해 소재생산, 중간재, 부품, 완제품으로 이어지는 탄소생태계를 전북에서 그릴 수 있게 됐다. 현재추진중인 전국유일의 전주국가탄소전용 산단 조성이 완공되는 4년 후면 70여 개 탄소관련 기업과 연구기관 등이 입주하게 돼 전북이 명실상부한 한국 탄소의 중심으로 거듭날 수 있게 될 것이란 기대도 높다.
특히 탄소산업의 발전과 활용 극대화를 위해선 또 다른 한 축인 수소사업 지원과 육성이 절대적이란 점에서 이젠 두 산업을 연계한 동반성장에 보다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게 됐다. 수소를 보관하거나 이동하는 탱크의 안전성을 담보하는 핵심소재가 탄소다. 수소산업이 뜨자 탄소사업이 가장 큰 수혜를 받게 된 결정적인 이유다.
더욱이 세계 선진국 대부분이 예외 없이 수소산업 육성에 나서고 있다. 독일정부는 지난 6일 ‘국가수소전략’을 발표하고 무려 10조원을 넘게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미국, 캐나다, 프랑스, 네덜란드 등도 수소경제 패권을 잡기 위해 아낌없이 예산을 투입하고 있다. 현재는 한국이 수소산업에서 앞서 있다는 평가지만 치고나가지 않으면 뒤쳐질 수 있음이다.
수소에너지 생산에서부터 운송, 저장기술에 이르기 까지 수소경제 인프라 구축에는 많은 예산과 시간이 필요하다. 수소차개발을 본격화한 현대자동차공장과 수소충전소 등을 완비한 완주군이 추진 중인 ‘수소특화 국가산단’ 조성을 통한 수소 전문기업과 연관기관 집중 육성에 정부가 보다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을 보여야 하는 이유다. 국가 수소경제위원회 위원장인 정세균 국무총리가 지난 3일 완주군 수소기반 시설을 둘러보고 밝힌 적극적인 지원의사가 실천적 정부의지로 확인될 수 있도록 머리를 맞대야 한다. 정부가 주도하고 정치권과 민관이 뒷받침하는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서둘러 구축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