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귀농귀촌 인구는 46만645명으로 전년대비 6.1% 감소했다. 2013년 통계 집계 이후 줄곧 상승곡선을 그리던 귀농귀촌은 2018년 처음 감소세를 보이더니 2년 연속 소폭 감소세에 머문 것이다. 특히, 귀농 인구는 3년 연속 줄어 지난해 1만6,181명까지로 떨어졌다. 상황이 개선되지 않자 '귀농 열기가 정점을 찍은 뒤 감소세에 접어들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때문에 정부가 귀농 연착륙을 위한 보다 강력한 정책들을 내놓아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정부는 관련된 우려가 기우라는 입장이다. 지난해 귀농한 상위 5개 지역은 전북 고창을 비롯해 전남 고흥, 나주, 경북 의성 등이었는데, 진성 귀농인들이 움직이고 있는 결과라는 것이다. 또한 귀농 가구 중 임차경영 비중이 늘고 있는데, 이는 적정 규모로 영농활동을 시작하려는 사람이 많아졌음을 의미하고, 1인 가구 비중이 늘어난 것도 가구주가 농촌 생활을 먼저 경험한 후, 가족을 합류시키려는 시도로 보인다고 설명한다. 아울러 경제가 악화되고 혁신도시 지방 이전이 끝난 것도 귀농귀촌 인구 감소의 영향으로 보고 있다. 코로나19 감염 확산의 영향으로 올해도 귀농귀촌 인구는 감소세를 보일 것이란 게 중론이다. 그럼에도 오히려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저밀도 관심은 높아져 향후 귀농귀촌 인구는 다시 증가세로 돌아설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맞는 말이다. 전 지구촌이 코로나19 사태에 휩싸이면서 농촌을 바라보는 젊은이들의 시각이 크게 변했다는 게 외신들의 공통된 진단이다. 이에 우리도 포스트 코로나 시대 농촌 활성화 정책을 미리 준비할 필요가 있다. 마침 농식품부가 농업 일자리 교육과 관련 정보 제공을 확대하는 등 귀농귀촌 활성화 정책을 적극 추진하기 시작했다. 청년의 농촌 취창업 역량을 높이기 위해 청년 월 지원금과 청년창업농 투자 펀드 확대, 일정 규모 이상 투자하려는 청년에 대한 심층 컨설팅 지원, 농지은행이 유휴농지를 발굴해 청년농에게 저렴하게 빌려주는 맞춤형 농지 지원 사업 규모 확대, 귀농인 주택 지원 강화 및 농촌 살아보기 프로그램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귀농귀촌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된다면 정말 젊은층의 농촌 러시가 이어질 수도 있음이다. 역설적이게 코로나19가 농촌의 가치를 다시 곰곰이 되짚어 볼 수 있게 하고 있다. 젊은이들에게 농촌은 희망이 될 수 있고, 농촌도 희망이 생기고 있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