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감소에 전주 및 대도시 쏠림이 가속화되는 상황, 전북 교육이 균형 있게 발전하려면 농어촌 학교 안팎 특색과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는 제안이다.

느는 폐교에 대한 대책도 필요하다고 덧붙인다.

전북도교육청은 26일 서울 국회의원회관에서 가진 ‘전북 국회의원 초청 교육정책 간담회’에서 이 같이 나눴다.

참석 대상은 김승환 교육감과 도교육청 간부 4명, 도내 국회의원 10명 중 김수흥 신영대 안호영 윤준병 이용호 이원택 한병도 의원 7명이다.

도교육청 현안 중 관심을 끈 건 농어촌학교 활성화 방안이다. 인구는 줄고 학부모들은 전주나 대도시를 선호하지만 도내 학교 절반 이상이 농어촌 지역에 있어서다.

3월 1일 기준 농어촌에 위치한 초중고는 전체 초중고 769곳 중 58.7%에 달하는 451곳이다. 학생 수 60명 이하 농어촌 학교도 전체 36.9%에 해당하는 284곳이다.

농어촌학교 존폐위기와 도내 시군 교육 격차를 극복하려면 학생들이 농어촌에서도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을 갖춰야 한다는 의견이다.

이는 학교 안을 책임지는 교육청과 학교 밖을 관할하는 지자체가 힘을 합쳐야 가능하단 설명이다.

이원택 의원은 “우리가 고민할 부분은 아이들이 농어촌을 떠나지 않아도 될 정도로 충분히 교육 받고 즐겁게 생활하는 거다. 그러려면 학교 안은 물론 밖에도 다양한 콘텐츠와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교육청과 지자체가 협업해 프로젝트를 만들고 함께 운영한다면 학생들이 학교 안에서 충족할 수 없는 문화나 여가를 밖에서 누릴 수 있을 것”이라고 제시했다.

윤준병 의원도 “주민 눈높이에 맞는 쏠림 방지 대책을 고민해야 한다. 교육 인프라를 재배치하는 게 대표적”이라며 “인구가 줄어드니 농어촌 지역 학생들이 한 학교로 모이는 건 불가피하다. 해당 학교 영역을 넓히고 특성화하면서 교통접근성만 담보한다면 이곳만큼은 폐교 고민을 덜할 것”이라고 했다.

학생이 줄어듦과 동시에 문을 닫는 학교가 느는 데 대해, 폐교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3월 1일 기준 도내 폐교는 46곳이다. 이 가운데 자체활용이 27곳, 대부(임대)가 10곳, 보존이 6곳, 매각 예정이 3곳이다.

도교육청은 학교가 지역 구심점이었음을 고려해 폐교하더라도 대부나 매각을 최소화하고 교육시설로 자체활용한다.

하지만 예산, 인력, 지리적 한계로 사실상 보존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는 지적이 있다.

윤 의원은 “폐교가 많아지지 않나. 이전에도 활용하려 했지만 쓸 만한 게 보이지 않았다”며 “정읍고창 지역의 경우 타 지역과 연계해 다른 시설로 쓰거나 귀농귀촌과 연계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김승환 교육감은 “교육감 취임 시 원칙이 작은 학교, 농어촌 학교 지키기였는데 해당 학교들이 인구밀집이 문제인 코로나 사태에서 각광받을 거라 생각한다. 이 과정에서 행정과 교육 협력이 매우 중요하다”고 답했다.

김 교육감은 “폐교 부지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혁신도시에 학교를 신설할 수 있었다. 교육박물관이 들어설 옛 군산초 자리도 마찬가지”라고 했다./이수화기자‧waterflower20@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