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도 코로나로 손님이 뚝 끊겼는데…. 손님들한테 QR코드까지 등록하라고 하면 장사하지 말라는 것과 매한가지입니다”.

지난 10일 오후 9시 전주시 경원동 한 노래연습장. 카운터 위에는 수기로 작성하는 출입명부가 놓여있었다. 전자출입명부 관리할 수 있는 전자기기 등은 마련되지 않은 모습이다.

전자출입명부시스템 의무화에 대한 질문에 매장을 지키고 있는 20대 종업원은 “잘 모른다. 사장님한태도 연락을 받은 내용이 없다”며 손사래를 쳤다.

그는 “전자출입명부 시스템 도입 취지는 공감하지만, 매장을 찾은 손님이 개인정보를 매장에서 수집한다고 오해할 소지가 생길 수 있을 것 같다”며 “손님들에게 수기 명부 작성 요청도 어려운 상황인데, 과연 시민들이 협조할지 의문이다”고 덧붙였다.

이날부터 정부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감염전파 고위험시설의 전자출입명부 시스템 의무화를 시행했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전자출입명부 시스템을 도입한 업소는 눙에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였다. 상당수 업소는 QR코드 방식을 전혀 모르거나, 매출감소 등을 이유로 꺼리는 분위기가 역력했다.

또 다른 노래방 업주 A씨(50대)는 “젊은 층도 QR코드 생성 방법을 몰라 헤매는 경우가 많은데, 스마트폰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자들은 사용할 엄두도 나지 않는다”며 “정책 시행 이전에 업주들이나 시민들을 대상으로 교육이나 홍보가 부족한 것 아니냐”고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이처럼 전자출입명부 시스템 도입에 해당하는 대다수의 업주들은 시스템을 시행하는 당사자들에게 제대로 된 안내가 되지 않아 적용이 어렵다고 털어놓기도 했다.

실제 전주 신시가지 노래방 업주 B씨(50)는 “오늘부터 시행한다는 말은 들었다”면서도 “그렇지만 구체적인 공문이 오지 않아 어떤 식으로 하는 건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같은 날 저녁 찾은 신시가지 노래방, 주점 등에서도 QR코드의 모습은 찾아볼 수 없었다. 추적추적 비가 쏟아지는 가운데, 처마 아래 문간에 내놓인 종이 명부가 이따금 바람에 흔들렸다. 이날 방문한 신시가지 내 관계 업소 15곳 가량은 모두 이러한 종이 명부를 이용하고 있었다. 정부의 전자출입명부시스템 의무화 시행이 무색할 지경이었다.

이날 한 노래방에 들어서자 이름과 연락처, 거주하는 동, 발열 여부까지 간략히 체크하는 종이 명단을 제시받았다. QR코드에 대해 묻는 말에는 ‘곧 하긴 하겠지만 당일이라 아직 준비가 안 됐다’는 답변이 돌아왔다.

전북도 관계자는 “아직 전달받지 못한 업주들의 경우에는 현장 인력이 부족해 전달이 덜 된 것 같다”며 “감염전파 고위험시설의 경우 기존에 단속하던 시설들과 크게 달라진 점 없어 이전처럼 단속 진행하는 한편 홍보와 계도 등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도내에는 유흥주점 1019개소, 단란주점 474개소, 콜라텍 22개소, 노래방 1029개소, 집단 운동시설 118개소 등 총 2671개소의 집단모임 업소가 있다./김수현 기자·ryud2034@ 장수인 기자 soooin92@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