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병술 전주시의회 의장

지난 6일, 정부는 강화된 사회적 거리 두기에서 생활방역으로 전환한다고 밝혔다.
지구촌이 코로나 사태에 대한 미숙한 대처로 뼈아픈 대가를 치르고 있는 가운데 솔선수범하는 성숙한 시민 의식으로 비교적 우리는 그나마 안정적인 일상을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길고 긴 코로나 정국의 끝은 여전히 묘연하기만 하다.

안정세를 유지하던 일일 신규 코로나 확진자 수가 이태원 발(發) 집단 감염 사태로 증가 추세에 다시금 들어섰다.
코로나 확산세가 잦아지기 무섭게 지역사회에서 코로나 19 확진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우리 주변에서도 얼마 전 김제에서 코로나 19 확진자가 발생 한 바 있다.
이태원 발(發) 집단 감염 사태에서 보았듯, 찰나의 방심이 방역에 큰 혼란을 야기할 수 있는 만큼 경계심을 늦추어선 안 될 것이다.

다만, 코로나 확산세가 다시 커지고 있기는 하지만 여느 전염병이 그랬듯 코로나 19 역시 언젠가 반드시 자취를 감출 것이다.
문제는 멈춰 버린 지역 경제를 되살리는 일이다. 코로나 확산세가 다시금 거세지는

가운데, 코로나 쇼크로 지역경제 역시 갈수록 상황이 나빠지는 매황유하(每況愈下)의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폐업하는 소상공인은 연일 늘고 있고 1분기 경제 성장률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역대 최대폭으로 증가했다. 지역경제에 경종이 울리고 있다.
수렁에 빠진 지역경제 살리기에 눈을 돌려야 할 시점인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수렁에 빠진 지역 경제를 어떻게 하면 살릴 수 있을까?
먼저, 소비심리를 자극해 위축된 지역 상권을 활성화해야 한다. 정부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긴급재난지원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지역경제에 보탬이 되기 위해 사용처 또한 다소 제한하기로 했다.

경제 사정이 어려워진 국민에게 도움을 주고 지역 경제를 살리기 위해서다.재난지원금이 적재적소에 사용된다면 지역사회 전반에 한층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다.

이에 더해 일자리 지키기 역시 지역경제 살리기의 핵심이다.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소비의 원천이 바로 일자리이며, 일자리를 지키지 못한다면 종국에 지역경제는 붕괴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정부는 물론이고 각 지자체에서도 코로나 발(發) 고용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갖은 노력을 다하고 있다.

전주시의 지난 4월, 노·사·민·정이 사회적 대타협에 기반한 “해고 없는 도시”상생 선언이 대표적이다.

근로자가 코로나 위기로 노동시장에서 밀려나지 않게 견고한 고용 안전망을 만들어가자는 것이 주된 내용이다.
일자리는 우리의 삶 그 자체이자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수 있게 하는 핵심적 요소이기 때문이다.

세부적인 방안으로는 고용보험 가입 유도를 위한 6개월간 고용보험료 지원,
지역 상생 기금 조성을 통한 대출 이자 일부 지원, 고용을 유지하는 사업주에 대한 지방세 유예 및 공공요금 감면 혜택 등이 있다.
코로나 19 발(發) 경제위기로 모두가 어렵다. 지역 경제는 얼어붙었고 소상공인은 생존의 기로에 있다.

이런 때일수록 서로가 서로에게 코로나 쇼크로부터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야 한다.
코로나 19의 대유행으로 우리는 전례 없는 불확실성과 마주하고 있다.
다가올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V자형 경제회복은 어려울 것이라는 부정적 전망 역시 우세하다. 하지만 기업에서부터 개인에 이르기까지 모두가 연대하고 힘을 모은다면 우리는 코로나를 능히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지역구성원 간의 연대와 협력은 한없이 매서운 코로나 광풍으로부터 지역경제를 단단히 지탱하는 주춧돌이 되어 줄 것이다. 코로나 발(發) 경제위기를 하루빨리 극복하고 온전한 일상으로 돌아가는 그 날이 오기를 진심으로 희망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