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대학교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의 국가기관 지정 문제가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전북도와 전북대가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를 국립감염병연구소 분원으로 전환하는 것에 대해 미묘한 입장 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전북에 국가감염병연구소 분원을 유치하는 것에 대해선 공감하지만, 보건복지부로 이관해 일원화된 감염병연구소가 필요하다는 전북도와 보건복지부로의 완전이관이 아닌, 분원 지정 후 시설을 공동활용해야 한다는 전북대의 입장이 팽팽히 맞서 난항이 예고된다.

▲바이러스 창궐,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 역할 확대 요구 커져 
코로나19를 비롯해 신종 감염병 퇴치와 치료를 위해 국가 차원의 연구소 설립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아시아 최대 규모인 전북대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의 국립화 요구도 커지고 있다.

인수공통전염병 연구소는 감염병 연구에 있어 특화된 노하우와 전문인력을 비롯해 의료·연구시설 등의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다.

특히 최근 문재인 대통령은 감염병 전문병원과 국립 감염병연구소를 설립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에 도는 시기적으로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가 국가기관으로 승격될 수 있다고 판단하고 국립화 전환에 시동을 걸게 됐다.

송하진 지사는 지난달 25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정부가 국립 감염병연구소 설립을 추진중에 있고 비상경제회의 안건에도 오른 상태라고 언급했다.

또한 전북대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가 예산과 인력 확보에 어려움이 따른다고 했다.
실제 전북대 부설 기관인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는 교육부 산하, 대학의 연구소로 구분돼 국가재난질병연구 수행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무엇보다 대학교 부설연구기관 특성상 운영상 어려움이 많아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공모사업 과제 유치에 주력하면서 체계적인 연구가 이뤄지기 어려운 실정이다.

때문에 신·변종 감염병의 등장 주기가 짧아지고 빈번히 발생하는 현재 상황을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감염병 연구로 대응할 수 있도록 국가기관 전환이 필요하다는 게 전북도의 논리다.

예산 역시 일부를 지원받는 형식이어서 연구 수행 과제도 적고, 연구진 배정도 매우 미미하다.

시설 규모에 맞는 정원 인원은 65명으로 알려졌지만, 전북대는 13명의 연구진만 배정해 4개 과제만 연구하는 등 상황이 열악하다.

전북도 관계자는 "공동활용이라고 표현한 것은 그냥 이대로 가자는 속내를 에둘러 표현한 것 일 뿐"이라며 "현재는 대학 부설에 속해서 예산이나 인력 등의 규모가 적지만, 국립화가 된다면 규모도 커지고 보다, 활발한 연구들이 이뤄질 수 있기 때문에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북대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 존치
전북대학교는 최근 일고 있는 전북대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의 국가감염병연구소 완전 이관 움직임에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완전이관으로 가닥이 잡히면, 현재 연구소에서 진행하고 있는 관련 연구들이 중단될 수 있기 때문이다.

김동원 전북대 총장은 지난달 28일 기자간담회를 열어 사람과 동물과의 전염병 연구기관은 ‘인수공통전염병 연구소’ 한 곳으로 유일무이한 기관이라고 강조했다.

전북대는 기존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의 기능은 그대로 두고, 감염병연구소 분원이 아닌 본원을 유치해야 한다는 논리를 내세우고 있다. 아울러 인수공통전염병 연구도 하고, 인체 감염병인 코로나19에 대한 연구도 진행해 감염병 국가연구기관 유치와 인수공통연구 활성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아야 한다고 대안책을 제시했다.

이러한 전북대 주장에 대해 도는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국립감염병연구소 설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됐는데, 그 이유를 골똘히 생각해봐야 한다"며 "인수공통감염병 연구는 결국 사람을 보호하기 위함이지, 돼지나 박쥐의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것은 아닌 만큼 복지부로 이관해 일원화된 감염병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박은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