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를 비롯한 신종 감염병 퇴치와 치료를 위한 국가차원의 연구소 설립 필요성이 제기된 가운데 아시아 최대 규모인 전북대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의 국립화를 통한 역할 확대론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감염병연구에 있어 이미 특화된 노하우와 전문인력을 비롯해 의료·연구시설 인프라구축도 완비해 놓고 있는 만큼 시급성을 다투는 현재 상황을 감안할 때 국립화 전환을 통한 코로나19 이후의 대응책 마련에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대안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송하진전북도지사는 지난 25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정부가 국립 감염병연구소 설립을 추진중에 있고 비상경제회의 안건에도 오른 상태라면서 전북대와 지역협력을 바탕으로 과감한 정책적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해 가능성과 필요성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보였다. 특히 국회도 지난 3월 질병관리본부가 요청한 국가 바이러스·감염병연구소 설립 40억원, 인수공통감염병 등 신종 감염병 대응 연구비 10억원 등이 포함된 추경안을 통과시켰다. 이를 통해 질본은 최근 감염병연구소 설립을 위한 학술연구 용역까지 발주했다. 문재인대통령이 취임 3년 연설에서 감염병 전문병원과 국립 감염병연구소 설립을 추진하겠다고 공언하면서 범정부차원의 감염병 극복 대책이 속도를 내는 건 그만큼 시간이 촉박하단 의미고 전북대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가 관심을 받는 것도 이 때문이다. 지난 2013년 국비 371억원과 지방비 48억 원을 들여 완공된 이 연구소에선 현재 조류인플루엔자를 비롯해 중동호흡기증후군, 광견병,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등 4건의 인수공통전염병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 이다. 박쥐가 인간에게 옮긴 것으로 보고된 코로나19 감염증에 대한 보다 효율적이고 신속한 연구가 가능한 기본 조건을 모두 갖추고 있는 셈이다. 신·변종 감염병의 등장 주기가 짧아지면서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연구는 물론 이에 대한 발빠른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가 된 만큼 전북대 인수전염병연구소의 조속한 국립화를 통한 정부차원의 과제 수행주장이 설득력을 얻는 이유기도 하다. 규모나 시설등에 있어 국내 최대 규모인 전북대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의 역할은 확대돼야 한다. 대학부설 연구기관이란 한계로 인해 65명 정원에 현재 13명이 근무하면서 4개 과제만을 연구하는 열악한 상황을 개선, 명실상부한 아시아 최대 규모 전염병연구소란 이름에 걸맞는 연구와 과제를 수행토록 해야 한다. 국립화 전환을 통한 연구소 제 역할 찾기가 시급하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