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르신들의 아지트라 불리는 서울 종묘와 탑골공원에는 2016년 어르신 문화 특화거리가 조성됐다. 2008년부터는 ‘서울노인영화제’가 열려 세계 각국의 노인과 노인문화를 주제로 한 영화들이 관객과 조우하고 있다. 서울은 지난 2012년부터 고령자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개별적 선택권과 결정권이 존중되는 도시 조성을 위해 ‘고령친화도시’를 구축하고 있다. 고령인구 비율은 지난해 말 기준 15.2%로 전국 17개 시·도중 10번째에 해당하지만, 서울은 고령자의 인구학적 특성을 고려해 ‘고령친화도시’ 만들기에 매진하고 있다.

반면, 전북은 고령 인구 비율이 20.4%에 달한다. 전남(22.6%), 경북(20.6%)에 이어 세 번째로 높다. 고령인구도 2018년 약 34만명에서 2030년 53만명 그리고 2040년에는 70만명까지 늘 것으로 추정돼 고령친화도시 조성 추진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전북연구원은 21일 이슈브리핑을 통해 ‘고령친화도시’ 중장기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WHO에서는 고령친화도시에 대해 “나이가 드는 것이 불편하지 않은 도시, 연령에 상관없이 누구나 살기 좋은 도시, 평생을 살고 싶은 도시에서 활력있고 고령기를 위하여 고령자들이 능동적으로 사회에 참여할 수 있는 도시”로 정의하고 있다.

이에 맞춰 전북에서도 ‘활동적인 노화’를 촉진할 수 있도록 고령친화도시 정책 및 사업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것이다.

이미 서울과 부산 세종 등은 WHO 고령친화도시 국제네트워크에 가입해 활발하게 고령친화도시를 정책사업으로 진행하고 있는 상황이다.

연구원은 고령친화도시를 만들기 위해선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고, 필요한 재원 반영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했다.

인구유입을 위해 고령친화 은퇴자 체류도시로 모델링 하고, 노인들이 정든 마을에서 생활하고 늙어갈 수 있도록 지역별 특화형 마을이 될 수 있도록 구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국제협력 관계를 위해 WHO 고령친화도시 국제네트워크 가입을 추진하고, 은퇴자 대상 노후설계, 재취창업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국민연금관리공단 및 순창장수연구소와 연계한 은퇴자 교육연수원 건립이 뒤따라야 한다고 역설했다.

연구책임을 맡은 이동기 박사는 “고령친화도시 조성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적인 정책과제로 등장하고 있다”며 “고령자들이 지역에서 활기차고, 편안한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전북 특성에 맞는 고령친화도시 조성에 힘써야 한다”고 밝혔다./박은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