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경제 위기극복 방안으로 신산업 분야 육성이 화두로 떠올라 전북도의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된다.

정부가 주요 육성 분야로 밝힌 바이오산업과 미래차는 지역에서도 의지를 갖고 투자 중이지만, 다른 지자체보다 성장 속도는 더디기 때문이다.

게다가 디지털 분야 신산업 선도를 천명한 만큼, 이에 대한 도만의 전략적 접근도 필요해 보인다.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3주년 특별연설에서 국난 극복 방안으로 시스템 반도체, 바이오 헬스, 미래차 등을 신성장 동력으로 키우겠다고 밝혔다.

특히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빅데이터·AI를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경제를 한국판 뉴딜사업의 중추로 삼겠다는 의지를 표현했다.

올해 바이오헬스 산업에 1조 2800억원을 투자하겠다고 약속했다.

코로나19 사태에 경쟁력이 입증된 진단키트 등을 앞세운 국내 바이오 헬스 산업은 글로벌 시장으로 확대하기 위한 속도를 내고 있다.

실제 바이오 헬스 산업은 1인당 부가가치 금액이 일반 제조산업의 2배에 이른다.

경제적 파급효과도 발생 매출의 3배에 달해 미래먹거리 산업으로써 가치가 크다.

국내 바이오산업을 견인하고 있는 충북은 2014년부터 바이오산업을 6대 신성장동력 중 하나로 제시하며 육성에 주력하고 있다.

이에 비해 바이오산업에 뒤늦게 뛰어든 전북은 전국 993개(2018년 기준) 바이오산업체 중 도내에 자리한 산업체 수가 29개, 2.9% 수준에 불과하다.

이에 17일 도는 도내 기업에 경쟁력 있는 농생명 소재와 바이오 화학 등을 강화하고, 바이오헬스(의료기기·제약) 분야까지 영역을 확대한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1658억원을 투입해 화장품·의료기기·화학 등 12개 사업을 추진중이며, 바이오제약 산업 구조 취약성을 극복하기 위해 2022년까지 바이오 융합 소재 상용화 지원사업을 실시 할 방침이다.

정부가 ‘미래차’를 신성장 산업 육성 리스트로 꼽아 코로나19 여파로 침체기에 빠진 자동차 업계의 분위기가 전환에 나선다.

다행히 전북은 미래차 생태계 전환에 대비해왔다.

한국지엠 군산공장 부지를 비롯 새만금 일대에 친환경 자동차 생산 투자 기업을 유치하고, 스마트 전기전장부품 개발을 지원해 친환경 전기자동차 메카로의 청사진을 그려갔다.

또 정부 사업으로 확정된 ‘상용차 혁신성장 및 미래생태계 구축’ 사업을 통해 전장부품 연구개발을 확대 지원하는 등 15개 사업이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미래차 관련 시장을 선점을 위한 지자체 간 치열한 경쟁이 예상돼 추진중인 사업을 기반으로 체질 강화에 더 힘써가야 한다는 우려도 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전북은 상용차의 94%를 생산하고 있으며, 미래차 부품에 대한 R&D 지원과 실증실험 인프라 구축 등의 투자도 활발해 크게 우려할 만한 것은 없다”고 했다.

정부는 사회구조가 비대면화 디지털화되는 시기에 발맞춰 AI·빅데이터·클라우드 등 ICT 산업에 대한 인프라 구축을 국가적 산업으로 추진하며, 대규모 일자리 창출사업을 전개하겠다고 선언했다

정부가 디지털 일자리 창출을 경제정책으로 제시함에 따라 도의 선제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관련 분야를 집중적으로 키우고, 부가가치와 일자리 창출까지 확장시켜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내년 예산에 반영시켜, 신속히 ICT비즈니스 구축에 힘써야 할 것으로 보인다./박은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