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과 지역의 정치·경제·사회·문화적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국가균형발전특별법에 의거, 전주시와 완주군에 걸쳐 기획된 전북혁신도시가 12개 공공기관 이전을 끝으로 혁신도시 시즌1을 일단락 지었다.

이제는 정주여건의 획기적 개선과 더불어 전북의 발전을 위해 기여할 수 있는 '힘 있는' 공공기관 이전을 약속할 혁신도시 시즌2가 본격 시동을 걸었다.
이런 가운데 기존 혁신도시 이전 기관들이 전북도민들과 상생하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서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 살펴봤다. /편집자주

지난해 12월 말, 충북 혁신도시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의 이전을 끝으로 수도권의 153개 기관의 혁신도시 이전이 마무리 됐다.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추진된 공공기관 지방이전 기본구상 발표 이후 16년 만에 이뤄낸 결과다.

전북혁신도시 역시 지난 2008년 첫 삽을 뜬 이후 2017년 한국식품연구원의 이전을 끝으로 혁신도시 시즌 1의 막을 내렸다.
전북의 경우 '알짜배기' 기관이라 일컫어지던 LH 유치가 무산되는 등 아픔을 겪기도 했지만 700조 원의 예산을 운용하는 국민연금공단과 국민연금기금운용본부 등을 유치하며 서울과 부산을 잇는 제3 금융중심지 선정을 위한 재도약을 준비중에 있다.

또한, 농생명 관련 산업 육성에 집중해 산·학·연·관이 함께 인력양성 및 연구 성과를 거두기 위해 전북도와 농촌진흥청 등이 협업하거나 지역 내 인재를 키워 연기금 관련 전문가를 육성하기 위해 국민연금공단과 대학이 협력해 학과 신설 같은 기초작업을 다지는 등 내실을 기하고 있다.

그 결과, 지난해 말 열린 '제1회 혁신도시 성과보고대회'에서 10개 혁신도시 가운데 가장 지역의 정주여건을 개선하고, 상생 발전에 기여했다는 공을 인정받아 우수 혁신도시로 선정되는 영광을 안기도 했다.

농진청 사업인 '농촌마을정원 조성사업'을 도시재생사업에 적극 도입·적용함으로써 주민역량 강화에 기여했으며, 혁신도시 특화분야와 관련된 지역우수인재 육성을 통해 지역 발전 기반을 구축했다는 것이 선정의 주된 이유였다.

특히, 상생협력과 관련해선 지역물품 구매 촉진 등 지역경제 활성화를 촉진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전북혁신도시의 경우 '로컬푸드 1번지'라는 명성에 걸맞게 혁신도시가 조성될 당시부터 로컬푸드 직매장 등을 조성·운영하는 한편, 공공기관에 로컬푸드 직거래 장터 운영, 12개 이전기관의 로컬푸드 공급확대 업무협약 체결, 로컬푸드 무인판매대 설치 등을 통해 지역경제와 공생했다는 점이 좋은 평가로 이어졌다.

이처럼 지역의 균질한 발전을 위해 이전해 온 대형 공공기관들의 지역경제 육성 활동이 이어지고 있긴 하지만 여전히 부족하다는 목소리도 높다. 지역인재채용 비율은 전국혁신도시 평균을 하회하고 있고 그중 일부 기관은 지역인재의무채용에서도 비켜나있어 제도의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는 상황.

전북혁신도시 내 주민등록인구는 달성 목표치의 92.8%까지 찼지만 87%가 기존 전북도민이고, 수도권에서 공공기관 이전과 함께 전입해 온 비율은 10%도 채 되지 않아 인구유입을 통한 경제 활성화 취지도 무색한 실정이다. 혁신도시 시즌2를 맞이해야 하는 지금이 전북혁신도시가 어떤 지역발전사업을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 시킬지, 지역민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지역공헌은 어떤 것이 있을지 고민해야 하는 최적의 시기인 셈이다. /홍민희기자·minihong2503@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