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인한 피해가 농업계로 까지 확산되고 있다. 감염병확산을 우려한 사회생활 줄이기가 소비위축을 가져왔고 이로 인해 외식경기가 직격탄을 맞으며 농산물 소비위축을 가져왔기 때문이다. 여기에 학교개학 연기로 인한 급식계약 농가 피해까지 겹치면서 농업분야가 경기위축의 직격탄을 맞고 있다.
소비감소에 수출부진까지 겹치면서 영세자경 영농업자는 물론 농산물수출업체들 까지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학교에 급식재료를 납품하는 친환경농산물 재배 농가들은 고사위기다. 실제 전주시가 학교급식 재료를 납품하는 친환경 재배농가 35곳에 대한 현황을 파악한 결과 장기간 저장할 수 없는 농산물납품업체의 피해는 심각했다. 
여기에 본격적인 영농 철을 맞아 일손부족을 호소하는 농가가 부지기수로 늘고 있다. 그간  농촌에 인력을 공급해줬던 대부분 업체에 고용된 중국인들이 본국으로 귀국하면서 인력난이 현실이 됐다. 단기입국 외국인근로자가 사실상 거의 중단된 상태고 그나마 국내 거주 외국인 노동자들은 이미 귀국한 경우가 대부분이라 영농철 농촌인력 수급에 비상이 걸린 것이다. 4월이 되면 농촌인력 부족에 따른 심각한 부작용이 현실이 될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특히 정부의 코로나19대책 대부분이 영세자영업자나, 소상공인에 집중되면서 상대적으로 농축수산업에 대한 지원과 관심이 덜 했던데 대한 불만도 터져 나오고 있다. 전북도나 내놓은 긴급재난지원 대상은 사회적거리 두기로 피해를 입은 업체들로 한정했고 전주시의 재난기본소득 지원대상 에서도 농민은 일단 제외된 상태다. 친환경농산물 사주기, 농촌일손돕기 등을 통해 농촌지원에 나선다는 방침이지만 사실상 실효를 거두기는 쉽지 않은 지원대책이란 점에서 소외감을 느끼고 있는 것이다.
코로나19사태 장기화로 인한 농축수산업계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정부관심이 시급하다. 특히 지난 20조원 규모의 민생경제종합대책에 이어 11조7천억 원의 1차코로나19 대책수립을 위한 추가경정예산에서도 농업부분 별도 예산이 빠지면서 비난 여론은 높다. 민주당과 정부가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2차 추경에 공감대를 형성했고 야당인 통합당 역시 40조원 규모의 긴급자금 투입을 제안한 만큼 총선이후 2차 추경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국가경제 회생을 위한 큰 그림도 중요하지만 이젠 보다 촘촘히 그물망식 지원대책을 서둘러야 할 때다. 코로나19에 농가들이 소리 없이 멍들고 있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