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지역 폐교 활용이 부실하다는 지적이다.

적은 예산과 인력으로 사용에 한계가 있고 사실상 방치되는 곳도 있어서다.

11일 완주교육지원청은 옛 삼례중을 완주군청 소셜굿즈 공간으로 매각하겠다고 밝혔다. 오래된 건물과 주변환경을 고려할 때 교육공간으로 부적합하다는 이유다.

김승환 교육감이 올해 신년기자회견에서 “지자체가 아이들이나 인간의 삶에 대해 접근한다면 폐교 매각을 열어놓고 논의하겠다”는 발언과 맥을 같이 한다.

군산처럼 옛 월명초와 옛 군산초에 각 청소년자치배움터와 전북교육박물관을 세우는 등 자체활용이 활발하거나 매각을 앞둔 곳(3곳)도 있다.

하지만 대다수 폐교 활용이 미흡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도내 문 닫은 학교(3월 1일 기준) 46곳은 자체활용(27곳)하거나 대부(임대, 10곳) 또는 보존(6곳)한다.

자체활용한 폐교 중 일부는 각종 체험장으로 조성했으나 활성화하기엔 예산, 인력, 지리적 여건이 따라주지 않는다는 설명이다.

자체활용이라곤 하나 도서지역에 자리한 소규모 학교는 노후화돼 건물을 철거하고 학교 터만 남은 보존한 폐교와 다를 바 없다.

한 교육지원청 관계자는 “건물은 안 쓰고 운동장에 체험장을 마련했는데 나무나 풀을 심는 정도다. 대개 주말에 인근 학교 학생들이 찾아오는데 학생 수가 줄다보니 그마저 뜸하다”며 “관리기관인 교육지원청 담당자들이 수시로 둘러보지만 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식의 적극적 운영은 어렵다”고 전했다.

또 다른 교육지원청 관계자는 “같은 자체활용이라도 위치와 규모에 따라 사용빈도가 천차만별이다. 외곽에 자리하면 효용성이 적어 어찌해볼 도리가 없다”고 했다.

대부한 폐교의 경우 기존 것만 유지, 갱신하지 신규는 받지 않는다. 이 가운데 리모델링하는 곳도 있지만 많은 비용과 지원을 필요로 해 오래된 건물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안전을 우려한다.

도교육청이 폐교 1곳당 제공하는 예산은 연간 500만 원. 범죄와 화재 예방을 위한 CCTV운영비, 제초, 각종 공과금을 소화하는 최소비용이다.

자체활용 담당인원을 따로 두거나 낙후한 대부공간을 손보는 건 불가능해 보인다.

매각이나 대부 같은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는 건 이 때문. 학령인구는 줄고 농산어촌은 많은 지역특성상 폐교가 늘 가능성이 커서다. 대부 수익은 도교육청 예산으로 편입한다.

한 교육계 관계자는 “활용기반을 제대로 마련할 게 아니면 팔 건 팔고 빌려줄 건 빌려주는 결단이 필요하다. 귀농 귀촌으로 인한 지자체 수요도 크다”고 제안했다.

이어 “폐교 관리비를 나눠주는 대신 리모델링에 투입하거나 각 지자체 지원으로 건물을 손 봐 대부하면 어떨까. 관광지로 효용성이 있다면 매각하는 것도 좋겠다”며 “대부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해야지 그 때문에 아예 안 하겠다는 건 공감하기 어렵다”고 말했다./이수화기자‧waterflower20@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