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에 다녀온 적도, 감염자와 접촉사실도 확인되지 않은 코로나19 확진자가 연이어 발생하면서 지역사회 전파가 본격화된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팽배하다. 문재인 대통령이 현 상황을 ‘비상경제시국’으로 규정하고 관련 부처에 특단의 대응을 주문할 만큼 국민안전, 민생경제가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다.
특히 정부가 특단의 대응을 강조하고 있지만 대학의 3월 개강을 맞아 중국유학생들의 대거입국이 본격화 되면서 지역사회 감염에 대한 우려는 더욱 커져만 가고 있다. 전북의 경우 17일 현재 자가 격리 환자가 전무해 지면서 일단 최악의 상황에선 잠시 비켜섰다고는 하지만 위기는 지금부터란 지적이 나올 정도다.
지난해 4월 기준한 국내 중국인 유학생 7만1천여 명 가운데 2만여 명 정도가 이미 국내에 입국했고 앞으로 3월 중순까지 약 5만여 명이 추가 입국할 것으로 정부는 예상한다. 이중 절반이 넘는 3만8천3백여 명이 서울소재 대학에서 유학중이지만 전북지역 대학에 적을 둔 유학생 수만도 3천4백여 명에 달하고 있다. 서울, 부산, 경기, 대전 다음으로 많은 숫자다. 강력하고 철저한 대응책을 유지중이라는 정부지만 확진자가 계속해서 나오는 위험지역으로 부터의 외국인 유입이 거의 무방비상태로 급증하다 지역사회가 더욱 불안해지고 있는 것이다.
드러나지 않은 감염자가 더 많을 것이란 전문가들의 지적이 잇따르는 상황에 중국인유학생들의 대거유입이 현실이 된 지금 이는 분명 ‘또 다른 새로운 국면’이 아닐 수 없다. 대학들이 개강을 늦추고 중국유학생들에 대해 기숙사 1인실 배정을 통한 2주간 격리 등의 대책을 내놨지만 이를 관리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인력은 물론 시설도 부족하고 소요되는 비용 역시 큰 부담이다. 여기에 기숙사격리 거부나 자취, 하숙 등의 방법으로 관리 사각지대에 놓일 수 있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입국자중 벌써부터 소재 파악이 안 되는 경우까지 있다고 한다. 정부대책의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는 이유다.
대응단계를 최고수준으로 올려 철저한 방역과 이들에 대한 관리 감독체계를 강화해야 한다. 방역에 허점이 뚫리면 지역사회의 충격과 혼란은 걷잡을 수 없게 된다. 무증상 감염에 지역감염까지 심각하게 우려되는 실정이다. 모든 대응전략을 재검토해 정부와 지자체가 온 힘을 다해 대처한다 해도 절대 쉽지 않은 코로나19와의 싸움이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