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화나 인터넷이 없던 시절, 편지는 유일한 연락 수단이었다. 우체국 집배원은 산 넘고 물 건너 집집마다 소식을 전해주는 메신저였다.
하지만 우체국이 사라지고 있다. 손편지 문화가 사라지고 온라인과 SNS 활용이 늘다 보니 우체국을 찾는 사람들이 줄어 운영난을 겪으면서 발생한 현상이다.
빨간 우체통 역시 똑같은 처지다. 그나마 지방자치단체에서 ‘느린 우체통’을 설치해 우체통 살리기에 나서고 있지만 점차 설 자리를 잃고 있다.
이런 가운데 우정사업본부가 우편업무의 늘어나는 적자를 감당하지 못해 우체국 수백여개를 폐쇄한다고 한다. 우정사업본부는 올해부터 4년 동안 전국 전체 직영우체국 1352곳의 절반이 넘는 667곳의 폐국을 추진한다니 그 숫자가 만만치 않다.
당장 올해에만 전북지역 11곳을 비롯해 서울 24개, 경인 28개, 부산 29개, 충청 25개, 전남 19개, 경북 22개, 강원 10개, 제주 3개국 등이 폐국 된다.
올해 폐국이 추진되는 전북지역 우체국은 매월 임대료를 지불해야 하는 임차국이 우선 대상이다. 이중 전북도청과 전주시청 출장소 폐쇄가 검토되고 있다. 익산과 군산지역 일부 우체국도 폐국 검토대상에 포함돼 올해 안에 10여개 우체국이 사라질 전망이다.
이후 2023년까지 집배원 업무를 겸하고 있는 집배국과 별정우체국을 제외한 순수 창구업무 전담 우체국 가운데 이용자가 적은 84곳 중 절반인 42곳이 순차적으로 폐쇄된다고 한다.
문제는 교통이 불편하고 인구 밀집도가 낮은 농촌지역 우체국이 줄지어 문을 닫는 것이다. 대도시는 그나마 다른 우체국을 이용하는 등 다른 방도가 있지만 우체국 수가 많지 않은 소도시나 농촌지역의 경우 폐쇄에 따른 주민 불편이 커질 수밖에 없다.
더욱이 노령인구가 많은 농촌지역의 고령자의 불편은 가중될뿐더러 우체국 서민금융의 취지가 무색해질 수 있다.
우체국은 엄연한 정부 공공기관이다. 우편업무뿐만 아니라 예·적금, 보험 등의 금융상품과 공과금 수납까지 취급하는 정부의 공공기관이다. 실적보다는 공공성이 우선돼야 한다.
우체국 폐쇄만이 능사는 아니다. 공공기관이 존재하는 이유는 단순한 비용편익분석 차원을 넘어서 국민을 위해 보편적 서비스를 제공하고 그를 통한 비가시적인 공공의 이익을 위한 것임을 명심하길 바란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