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농촌에 청년들의 유입과 정착이 시급한 실정이다. 농가고령화 현상과 청년농업인이 계속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도는 메마른 지역 농촌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도록 ‘청년창업농 전북정착’ 프로젝트를 진행, 속도를 내고 있다.

5일 도에 따르면 도내 45세 미만 청년농업인은 2015년부터 매년 줄어들고 있는 추세다. 반면 65세 이상 농업인은 늘면서 농촌고령화가 급격하게 진행돼 특단의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통계청이 분석한 ‘전북지역 청년농업인 현황’을 보면 2015년 45세 미만 청년농업인은  4322명(4.3%)이다. 2016년은 4012명(4.1%), 2017년 3479명(3.6%), 2018년 2974(3.1%)명으로 파악된다. 반대로 65세 이상 농업인은 2015년 5만5915명(55.7%)에서 2016년 5만6952명(57.6%), 2017년 5만7663명(59.6%), 2018년 5만8539명(61.7%)으로 나타났다.

도는 젊고 유능한 청년 농업인을 유입하기 위해서 농촌정착에 필요한 영농생활자금, 영농기반, 주거대책, 네트워크를 종합패키지 형태로 지원하는 ‘청년창업농 전북정착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총 5개 분야에 12억 7000만원이 투입되며, 이와 별개로 복지시책도 확대해 농촌 거주 여건도 개선해 나갈 방침이다.

도는 그동안 연령초과로 영농정착 지원금을 받지 못했던 만41세~45세 창업농에게 월80만원씩 지급하는 ‘전북형 청년창업농 영농정착 지원사업’을 진행한다. 아울러 도와 농식품부에서 선정한 청년창업농에게 최대3년간 정책자금 이자 중 1%(최대 300만원)를 지원하는 ‘정책자금 이차보전’ 사업도 추진한다. 이외에도 농지, 농산물 재배시설, 축사 등 임차비용의 50%를 3년간 지원해 임차료 부담을 완화시키는 사업도 진행되며, 주거 기반이 없는 청년창업농의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 농어촌 노후주택의 리모델링 비용의 50%도 지원키로 했다. 아울러 청년 농업인의 고독감과 상실감 등을 해소하기 위해 2019년부터 시범 운영해 온 생생동아리 지원사업도 올해 50개 동아리에서 65개소로 확대했다.

도 관계자는 “농촌 고령화는 전북만이 아닌 전국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다”며 “이런 상황이 계속 되면 농업의 미래가 없어지는 것으로 절박한 마음을 갖고 시작하게 됐다”고 밝혔다./박은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