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한폐렴’으로 불리는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공포가 전국을 뒤덮으면서 2015년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의 악몽을 떠올리게 해 보다 촘촘한 방역조치가 요구된다.
2015년 당시 국내 첫 확진자가 나왔던 지역을 중심으로 바이러스가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면서 전북에서도 많은 피해자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29일 도에 따르면 현재 전북지역 능동감시 대상자는 모두 83명인 것으로 확인됐다. 우한공항으로 입국한 22명을 비롯해 국내 확진 환자 접촉자 4명, 중국으로 글로벌 어학연수를 떠났다 귀국한 초·중학생 55명 및 인솔교사 2명 등이다.
우한공항으로 입국한 22명 중 2명은 관련 증상이 의심돼 검사를 실시했으며 모두 음성판정을 받았다.
그러나 이들 중 1명이 폐렴 의심 증상이 보여, 폐렴에 대한 원인을 밝히기 위해 추가로 검체를 채취하고 2차 정밀검사를 진행중이다.
다행히 아직까진 도내에 확진 환자가 발생하진 않았지만, 긴장의 끈은 놓을 수 없는 상황이다. 능동감시 대상자는 앞으로 계속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세계보건기구 WHO에서 무증상 감염자도 신종코로나바이러스를 옮길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된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에 질병관리본부는 즉각 “잘못 알려진 것”이라고 일축했지만, 불안감은 지울 수 없는 상태다. 
2015년 5월 처음 메르스 감염자가 발생한 후 무려 186명이 확진, 38명이 숨진 것으로 파악된다. 첫 확진자가 나온 뒤 열흘도 지나지 않아 사망자가 발생했고, 한 달도 안 돼 감염자가 100여명을 넘어서는 등 순식간에 메르스가 전국을 흔들었다.
전북도 예외는 아니었다. 순창에 사는 70대 여성 환자가 메르스로 사망했으며, 김제, 전주에서도 메르스 확진자가 발생했다.
당시, 도 보건당국은 격리·분류해야 하는 환자가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안이한 판단과 허술한 관리로 확진 격리 기회를 놓치면서 지역 내 메르스 확산을 키워갔다.
그런 가운데, 음압 병상, 격리병상 등 필요한 시설도 충분치 않아 발만 동동 굴러야 했다. 이후 사태의 심각성을 깨닫고 도는 부랴부랴 민·관 합동 체계를 구축하는 등 상황 수습에 나섰지만, 도내 메르스 감시 대상자는 630여명에 달했다.
이렇듯 2015년 기승을 부렸던 메르스 사태가 재현되는 것을 막기 위해선 도 방역 당국이 보다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놓고 다각도로 대응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도 방역대책본부는 능동감시자들에 대해 하루 2번씩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으며, 도내 대학교 유학생 관리를 위해 30일 도청 소회의실에서 대학관계자들과 회의도 진행하기로 했다. 또 전북대학교와 대자인병원, 남원의료원 등 선별진료 의료기관에 대한 현장점검도 실시하는 등 방역에 집중할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현재 정부 차원의 매뉴얼에 따라 체계적인 대응을 실시하고 있다”며 “일각의 과도한 우려 및 불안감 조성 등은 사태 해결에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 가장 1순위 방역은 마스크 착용, 손씻기 등 예방수칙을 지키는 것이다”며 “이상증세가 나타나면 바로 1339로 전화해주길 부탁한다”고 덧붙였다./박은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