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올해 추진하는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에 대한 기대가 크다. 저출산 고령화 시대, 수도권 쏠림 현상으로 지방 소멸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나온 정책이기 때문이다. ‘지역 대학이 대학교육혁신을 통해 지역의 핵심인재를 양성하고, 보유한 자원을 활용하여 지역이 필요로 하는 과제를 수행하도록 지원하여 ‘대학의 혁신’이 ‘지역의 혁신’으로 이어지도록 한다‘는 정책 방향에 지역 대학가는 환영하는 입장이다.
  교육부에 따르면 사업은 지자체, 지역대학, 기업이 ‘지역혁신 플랫폼’을 구축해 지역 핵심분야를 발굴하고 추진하는 걸 목표로 한다. 지역이 기획·실행하고 중앙부처가 지원하는 방식으로  사업규모는 올해 비수도권 3개 지역혁신 플랫폼에 국고 1,080억 원을 투입한다. 지방비는 총사업비의 30% 대응투자다. 지역혁신 플랫폼은 그동안 대학 경쟁력 강화 정책과 궤를 달리 한다. 기존 사업들은 개별 대학의 역량을 기르고 그 효과가 부수적으로 지역에 확산되기를 기대했다. 일종의 ‘낙수효과’를 기대한 것이다. 하지만 이 플랫폼은 지자체가 대학·기업 등 지역혁신주체들과 함께 지역의 여건과 현안을 십분 반영한 ‘지역혁신 핵심분야’를 발굴하고 대학이 주체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과제를 추진하는 것을 지원한다는 점에서 진일보한 것이다. 특히 개별 대학 위주로 지원됐던 대학재정사업은 대학간 경쟁을 부추겨 지역의 발전과 동떨어진 면이 있었던 것에 비추어 대학들이 지역 발전을 위해 협력해 상생할 수 있는 기회로도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전북에서는 현재 총괄대학인 전북대와 참여대학인 군산대, 전주대, 우석대, 원광대 등이 TF팀을 꾸려 준비하고 있다고 한다. 아직은 준비가 부족해 보인다. 이들 대학들은 현재 ‘핵심분야’와 이를 통해 실현할 ‘대과제’는 정하지 않았고 함께할 지자체와 기업도 미정이라고 한다. 교육부는 권역별 간담회를 개최하여 현장 수용성을 높인 기본계획을 2월말 확정?공고할 예정이다. 한 달 남짓 남은 기간 치밀한 준비가 요구된다. 전북도와 시군들도 대학에게만 의존하지 말고 같이 할 수 있는 사업에 대한 적극적인 의지도 필요하다. ‘지방소멸’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도내 지자체-대학-기업의 협력을 기대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