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경수사권 조정으로 강력한 권한을 갖게 된 경찰 권력의 재조정을 위한 경찰개혁의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가 높다. 문재인 대통령도 지난 17일 여당 지도부를 만나 “검찰과 경찰 개혁은 하나의 세트처럼 움직이는 것”이라며 경찰개혁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검찰개혁을 위한 입법이 마무리된 만큼 자칫 경찰권력 비대화로 이어질 수도 있는 부작용을 막기 위한 후속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끊임없이 제기되는 상황이다. 검경의 수사권 조정이 어느 한쪽의 힘을 약화시켜 다른 쪽에 모아 주자는 게 아니라 힘의 균형을 통한 원칙수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단 점에서 경찰 개혁 법안도 조속히 마련돼야 하는 건 당연한 수순이기 때문이다.
문대통령의 언급에 이어 이해찬 더불어 민주당 대표도 20일 "경찰은 인원만 12만 명이 되는 거대한 권력기관으로서 검경 수사권 조정으로 권한도 많이 생겼다"며 경찰에 대한 우려가 나오는 만큼 적절하게 대응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인 방안으로 그동안 당·정·청이 강조해 왔던 국가경찰과 지방경찰의 이원화를 큰 줄기로, 국가경찰을 다시 행정경찰과 수사경찰로 분리하는 방안으로 진행할 것임을 시사했다. 국회에 발의돼있는 자치경찰제도입, 국가수사본부시설, 정보경찰의 민간인사찰 방지 법안 등의 2월 임시국회통과 필요성도 언급했다. 검찰 권한 축소로 생긴 상대적인 경찰의 권한 강화를 다시 세분화해 경찰내의 권력 분산에 개혁의 초점을 맞추겠다는 것이다.
모든 걸 법으로 다스리고 통제하는 데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스스로 변하겠다는 의지나 자체 쇄신이 뒤따르지 않을 경우 절대 기대한 만큼의 효과를 거둘 수 없는 게 사실이다. 하지만 힘의 균형을 1차적으로 강제하는 수단은 제도적으로 이를 완비하는 것임에도 미뤄지는 경찰개혁이었기에 검찰개혁이 결국은 경찰공화국을 만들기 위한 것 아니냐는 반발이 나오는 것은 오히려 당연하다. 
검찰과 경찰의 개혁은 같이 가야 한다. 힘이 커진 만큼 책임도 무거워지기에 이를 통제하는 수단으로의 경찰개혁 입법은 조속히 완비돼야 한다. 검찰뿐 아니라 모든 권력기관들에 대한 지속적인 개혁을 강조한 정부가 검찰개혁 하나 해놓고 두 손 놓고 있어선 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없는 일이다. 경찰이 거대 공룡이 되면 검찰보다 더욱 위험한 권력기관이 될수도 있다는 점을 국민들은 우려한다. 검찰개혁이 또 다른 국민의 걱정거리가 될 수도 있음이다. 경찰개혁입법 서둘러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