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홀로 사는 1인 가구가 한국의 주요 가구 형태로 빠르게 전환되는 가운데, 전국 평균보다 1인 가구 비중이 높은 전북도가 변화된 가구 형태를 반영해 종합적인 계획 수립 및 정책화가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전체 가구에서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날로 높아지고 있지만, 대부분의 정책은 노인 돌봄 서비스 같은 고령층 복지 위주로 짜여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지자체 차원의 담당부서 지정, 종합적인 실태조사 등 1인 가구를 위한 정책적 체계 정비가 요구된다.
13일 도에 따르면 도는 아직까진 1인 가구 지원을 위한 포괄적인 기본계획 및 지원정책 수립 등이 논의되지 않은 상태라고 밝혔다.
다만, 인구구성이 바뀐다는 건 인구유출과 맞닿아 있는 만큼 논의할만한 의제로써 인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북도 관계자는 “현재 도에서는 여성 1인 가구 지원 정책 마련을 위해서 관련 의제를 정책 연구과제로 올려놓았다”며 “1인 가구에 대한 정책을 한꺼번에 만들어가긴 복잡하고 복합적인 만큼 조금씩 확대해 나갈 방침으로, 하반기엔 연구과제로 발굴하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통계청이 발표한 ‘시도별 장래가구 추계’를 보면 2047년이 되면 전국 평균 가구원수가 1.99명까지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2017년 기준 전북의 1인 가구는 22만 700가구로 전체 가구의 31.2%를 차지한다.
이는 전국 시·도 가운데 다섯 번째로 높다. 전국 평균 1인 가구 비중인 29.3% 대비 1.9%p 높은 수치로 2047년인 되면 도내 1인 가구는 40%(2만5000가구)까지 늘어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1인 가구가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로 볼 때 머지않아 국내도 유럽 도시들처럼 전체 가구 중 1인 가구 비중이 50% 이상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전북은 1인 가구 비중이 전국 평균보다 높기에 1인 가구를 대상으로 한 주거지원과 정서적 돌봄 등의 복지대책을 서둘러 준비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정미경 전북대 사회학과 교수는 ”전북은 독거노인 뿐 아니라 2~30대와 중장년층 1인가구 비중이 꾸준히 늘고 있어 생계 빈곤, 주거 문제에 대한 전반적인 문제에 도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며 ”특히 1인가구 대책이 혹시 혼인 기피, 저출산 조장 등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1인 가구 정책에 대한 반발, 복지 지출 증가 등으로 인한 재정적 부담 우려 등을 잠재울 수 있도록 종합적인 검토를 통해 합의 도출도 필요하다“며 ”여기에 중장년층에서도 1인 가구가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어 이들에 대한 특성을 파악해 중장년층이 사각지대에 놓이지 않도록 다양한 정책 마련이 요구된다"고 덧붙였다./박은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