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한 고비를 넘기자 이번엔 매년 겨울이면 전국을 심각한 위기와 걱정으로 몰아넣는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공포가 올해도 어김없이 되풀이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특히 올겨울 전북을 찾은 겨울철새 규모가 지난해보다 60%가까이 증가하면서 AI발생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크게 높이고 있다.
지난 5일 철새정보시스템이 지난해 12월 기준 도내 철새도래지 4곳에서 관측한 철새는 모두 8만5천여마리로 1년 전인 2018년 12월 5만3천여마리 보다 무려 3만3천여마리나 늘었다. 지난해 12월 한국을 찾은 겨울철새가 181만7천여마리로 전년 동기보다 40%가까이 증가한 것과 맥을 같이 하는 것으로 이는 최근 5년 사이 최대치라 하지만 전북으로의 철새 유입이 더 늘어난 것은 그 만큼에 비례해 걱정의 도를 높이기에 충분한 수치가 아닐 수 없다. 더욱이 전북 인근인 전남 고천암호, 영암호를 비롯해 충남 천수만, 금강하구 등의 철새서식지내 야생조류수 역시 최근 급증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전국적으로 지난해 10월 이후 충남 4건을 비롯해 경북, 경남, 충북 등 전국 8개시·도에서 18건의 저병원성 항원이 검출됐고 이중 부안군에서도 저병원성 AI 항원 1건이 검출되면서 전북입장에선 이만저만 걱정이 아닌 심각한 상황이 계속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 대만·베트남 등 한국 주변 국가 사육 농가에서 고병원성 AI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최근 고병원성 AI발생으로 칠면조가 집단 폐사한 폴란드의 가금 및 가금육수입을 3일부터 금지시키는 등 한국 내부는 물론 주변국으로부터의 유입가능성 또한 우려할만한 수준이 되고 있다.
정부의 빈틈없는 방역 필요성과 함께 위험 축산농가등에 대한 철저한 사전점검이 최대 과제가 되고 있다. 전북을 비롯한 의심지역에 대한  예찰활동 강화와 함께 적극적인 방역예산 투입을 통한 발병차단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불가피한 차량 출입제한이나 잦은 점검 등으로 야기할 수 있는 불편함에 국민적 협조가 필요함은 물론이다. 정부가 추진하는 방역대책이 실패할 경우 이로 인한 모든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들의 몫이기 때문이다. 한번 발생하면 완전 방역과 차단에 나선다 해도 국민경제에 많은 피해를 양산하고서야 멈추었던 고병원성 AI다. 절대 긴장의 끈을 늦춰선 안 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