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취업난이 좀처럼 해소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는 가운데 전북소재 고등교육기관 졸업자들의 취업률이 전국최하위권인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한파가 전북 청년들에는 더욱 차갑고 매섭게 다가온 것으로 경제성장률이 하향곡선을 그리고 기업이 몸을 사리는 위기 상황이 확산되면서 불투명한 미래에 희망자저 잃어가는 악순환이 지속되고 있다.
청년 취업 문제를 국가 최대 현안으로 다루겠다는 정부지만 지난해 전북소재 대학과 대학원 졸업자들의 취업률은 65.7%로 전국 17개시도 중 부산의 64.8% 다음인 꼴찌에서 두 번째였다. 교육부의 2018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에서 확인된 것으로 1년 전인 2017년엔 전국에서 가장 낮은 62.4%의 최악의 부진한 취업률을 기록했었다. 최악의 청년실업이란 수식어가 붙으며 정부를 압박하고 있지만 식어가는 국가경제 여진이 전북경제에는 치명타로 다가온단 점에서 지금은 물론 내년이후가 더욱 걱정인 현실이 아닐 수 없다.
역대 정부 모두가 예외 없이 취업률 늘리기를 최우선 국가과제로 삼아 추진해 왔지만 성과는 없다. 현 정부 역시 지난 10월 고용지표를 근거로 14년 만에 청년 고용률 최고치를 경신했다고 자평했지만 양질의 일자리와는 거리가 먼, 월 단위의 단순지표를 들어 성과를 판단하는 성급함에 대한 지적이 적지 않았다. 정부 돈으로 단기 일자리 늘린데 기인한 수치상의 변화를  ‘청년일자리 효과’로 포장해선 안 된다는 것이다.
더구나 한국경제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08년 이후 10년간 한국 청년 인구는 7.3%가 감소했음에도 청년실업자는 오히려 28.3%가 증가했다. OECD 국가 전체로는 청년인구가 1.6% 줄면서 실업자 역시 13.9%가 감소하는 상식선의 통계가 잡힌데 반해 한국에서 만큼은 정 반대의 양상이 나타난 것으로 결국 지금까지 청년실업정책은 아무런 효과가 없었음이고 오히려 줄 곧 악화돼 왔음을 확인케 하는 결과가 아닐 수 없다.
4차 산업혁명이 본격화되면서 새로운 일자리 창출에 대한 기대와 노력이 진행되고 있지만 이대론 안 된다. 맞춤형 인력 양성에서부터 기업 환경개선을 위한 정부의지. 노동시장개혁에 이르기까지 총체적인 점검과 변화가 절실하다. 특히 전북을 비롯한 비수도권지역 경제 활성화를 통한 맞춤형 노동시장 활성화정책은 시급한 현안이다. 그렇지 않아도 인구감소로 고사직전에  내몰린 지방이다. 이대로 방치하면 안 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