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0년 간 지역 숙원으로 대표됐던 새만금 국제공항 건설 사업이 모든 행정절차를 마무리 짓고 사업계획 적정성을 인정받으면서 빠르면 오는 2023년 첫 삽을 뜨게 될 전망이다.
국내 광역시·도 중 유일하게 공항이 없는 전북은 그동안 국가·대외적 행사 유치 등에 있어 ‘항공낙오지’로 평가됐고, ‘미래의 땅’으로 불리는 새만금의 개발 활성화에 있어서도 ‘인프라 부족’이란 지적을 받아 왔다.
송하진 도지사가 지난 2014년(민선 6기) 취임하면서 본격 추진된 이른바 ‘전북권 공항건설 사업’의 출발은 김대중 정부 시절인 1999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김제시 백산면 김제공항은 공사계약 및 착수단계에서 ‘항공수요와 경제성을 재검토하고 사업시기를 조정하라’는 감사원의 지적으로 중단됐다.
이후 이명박 정부 들어 ‘30대 광역경제권 프로젝트’에 반영돼 전북권 공항건설의 희망이 보였으나 수많은 반대에 부딪혀 수포로 끝나고 또 다시 표류했다.
송 지사는 취임 이후 속도감 있는 새만금 개발을 추진하기 위해 ‘공항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판단, ‘2023 세계스카우트잼버리대회’를 명분으로 전북권 공항건설 사업에 다시 팔을 걷어붙이고 진두지휘에 나서게 된다.
이에 도는 2014년 11월, ‘전북권 항공수요 조사용역’을 추진하고, ‘제5차 공항개발 중장기 종합계획(2016년)’, 국토부 ‘새만금 신공항 항공수요조사 연구용역(2016년)’을 반영하거나 성사시키며 가용 가능한 모든 행정력을 총 동원했다.
특히, ‘전북의 친구’를 선언한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하면서 상황은 급변했고, 당시 정부는 속도감 있는 새만금사업 추진을 위해 새만금 국제공항 건설을 ‘100대 국정과제’에 포함시켰다.
이후 국토부가 실시한 ‘새만금 국제공항 항공수요조사 연구용역’ 결과(2016년 12월~2018년 3월)에서 2025년 기본수요가 67만4000명, 새만금 유발 수요를 반영할 경우 94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돼 공항 건설에 대한 기대감은 더욱 높아졌다.
이에 발맞춰 도는 지난해 11월 국가균형위의 ‘국가균형발전 기반구축사업’에 새만금 국제공항 건설을 1순위 대상 사업으로 신청했고, 지난 1월 이 건은 국무회의 의결을 통해 공식적으로 예타를 면제 받았다.
이어 기재부는 27일 재정사업 평가위원회 회의를 열고 새만금 국제공항에 대한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 안건을 원안대로 의결했다.
도는 이번 기재부 의결에 따라 새만금 국제공항이 새만금 지역의 트라이포트(Tri-Port, 공항·항만·철도) 물류체계 완성과 함께 동북아 물류중심지 경쟁에서 우위 선점하는 등 전북지역 산업의 생산·부가가치 효과 유발, 대규모 일자리 창출 등을 기대하고 있다.
송하진 지사는 “기재부의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는 예타 조사가 면제된 사업에 대해 본격적인 사업추진을 전제로 한 행정절차의 마무리 단계”라며 “정부가 사업성을 인정함과 동시에 모든 행정절차가 끝나게 돼 새만금 국제공항 건설이 활주로에 오르게 됐다”고 강조했다.
/유승훈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