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동부권 균형개발을 위해 425억 원을 투입키로 25일 확정 했다. 민선7기 도정 목표인 ‘전북의 균형 잡힌 발전’의 구체적인 실천 계획 일환으로 식품과 관광을 중심으로 한 지역별 특화 분야확대 등 총 16개 사업 추진을 위해 도비 300억 원과 시·군비 121억 원, 자부담 4억 원으로 사업비를 마련할 방침이다.
그동안 동부권 발전을 위해 투입한 예산만 42개 사업에 2578억 원에 달했지만 그럼에도 눈에 띠는 변화는 사실상 없었다는 점에서 이번 지원 사업 효과에 대해 적지 않은 의문이 드는 건 사실이다. 남원, 임실, 진안 ,순창, 무주, 장수 등 전북의 동부 산악 권을 중심으로 한 지자체들 대부분이 낙후도가 너무 심하고 오랜 기간 관심에서 소외되면서 성장기반 자체가 무너진게 현실이기 때문이다. 정부나 광역지자체 차원의 특별한 관심과 획기적인 지원이 병행된다 해도 단시간 안에 지역에 생기가 돌기 힘들 만큼 이들 지역에 있어 ‘고루 잘사는 전북’은 남의 일이 된지 오래일 정도다.
동부권 지원 필요성이 제기된 것도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특히 지난 2006년엔 동부권의  지속적인 개발을 위해 14년 장기프로젝트인 ‘동부권균형개발 계획’이 수립돼 2020년까지 5개 분야 20개 사업에 11조3천999억 원을 투입하겠다는 발표가 나오기도 했었다. 그 후에도 단체장이 바뀌고 동부권 개발 요구가 제기될 때 지원계획은 봇물처럼 쏟아져 나왔다. 하지만 동부권의 지금은 5년 전이나 10년전이나 비교해 체감할 수 있는 발전도는 없다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전주권, 서해권등 도심과 평야지대를 중심으로 한 개발 호재와 지원들은 실천적인 구체적 안으로 추진되고 있지만 동부권 지원 계획 상당부분은 계획과 아이디어 수준에 머물렀기 때문이다.
낙후로 인한 경제난은 동부권 6개시군의 급격한 인구감소를 가져왔고 이는 결국 심각한 고령화로 이어지며 지역 소멸 우려를 높이는 상황으로 까지 몰고 왔다. 그나마 거주중인 주민들의 지역 간 생활격차에 따른 상대적 박탈감은 모든 것에 앞선 특단의 지원과 개발계획 필요성을 절감케 할 만큼 최악이다. 도의 지원계획이 차질 없이 추진되고 반드시 성과를 내야 하는 것은 물론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담은 지역균형발전에 대한 정책의 실천이 시급한 이유다. 지금의 대책이 찔끔 지원에 불과하다고 생각될 만큼 지금 전북동부권의 낙후는 최악의 상황이다. 속도감 있는 정부와 지자체의 의지가 절실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