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의 고령화 시계가 빨라지고 있다. 문제는 빨라도 너무 빠르다는 것이다.

이미 내년이면 전남에 이어 초고령사회에 진입하는 상황이고, 2045년엔 초고령사회 기준을 두 배 이상 뛰어 넘는 42.5%의 비율을 보일 것이라는 게 통계청의 분석이다.

이런 상황에서 노인여가복지시설은 늘어나는 고령인구의 속도를 따라잡지 못해 도리어 줄어드는 형국이어서 이에 대한 행정적·제도적 개선이 절실한 상황이다.

호남지방통계청이 18일 발표한 '통계로 본 2019년 호남·제주 고령자 현황 및 분석'에 따르면 올해 전북의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은 19.7%로 전남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

이는 전국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인 14.9%와 비교해도 월등히 높은 편으로 이같은 비율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사회에서 65세 이상 인구가 총 인구의 20% 이상을 차지하면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는데 전북은 내년이면 20%를 가뿐히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통계청이 2026년이면 우리 사회 전체가 초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내다봤는데 전북은 그보다도 6년이나 빨리 먼저 도착하는 셈이다.

가구주 연령이 65세 이상인 가구를 뜻하는 고령자 가구 또한 전북은 29.1%를 차지했으며, 고령자 1인 가구 비율도 10%를 넘어섰다. 이는 전국 평균인 21.8%와 7.4%를 상회하는 수치다.

저출생으로 인한 노년부양비와 노령화지수 악화는 더욱 심각하다. 65세 이상 고령자 1명을 부양하는 생산연령인구(15~64세)의 경우 전북은 3.5명에 불과했다. 광주(5.7명), 제주(4.7명)보다도 낮으며 전국 평균인 4.9명보다도 부족하다.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부양해야 하는 65세 이상 인구 비율인 노년부양비 또한 28.9명으로 전남에 이어 두 번째로 많으며, 2045년엔 4배 가까이 늘어 87.4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0~14세 인구 100명 당 65세 이상 인구 비율을 나타내는 노령화지수는 이미 올해들어 162.6명으로 전국 평균인 119.4명보다 43.2명이 많은 상황. 이같은 증가 추세라면 2045년엔 483.4명까지 이를 것이라는 게 통계청의 분석이다.

이런 가운데 노인인구의 증가로 요양기관수는 시골 도서지역을 중심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이들을 위한 여가복지시설은 10년 전에 비해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정확히는 늘어나는 노령인구의 속도와 여가시설 증가 속도에 괴리가 생긴 것.

지난해 요양기관 수는 전북이 3,740개소로 가장 많았다. '17년 대비 0.9% 소폭 증가했지만 여전히 전남과 광주를 큰 격차로 따돌리며 1위를 고수했다.

그러나 60세 이상 노인 1천 명 당 개소를 뜻하는 노인여가 복지시설수는 13.8개소로 10년 전인 2009년 16.8개와 비교하면 도리어 줄어들었다.

이에 대해 통계청 관계자는 "전체적인 수치는 행정자료를 토대로 작성됐기 때문에 정확한 감소 원인은 알 수 없지만 여가복지시설이 줄어들었다기 보다는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전북의 노령인구수에 비해 복지시설의 설립이 더디게 진행되고 있는 상황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이어 "전북의 경우 가임여성의 합계출산율이 1.04명에 그치고 있는 만큼 이같은 저출생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차세대가 노령인구를 떠받들기 위해 짊어져야 하는 부담감은 더욱 커질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가장 많았던 지역은 전북 전주시로 8만9천 명이었으며, 요양기관 수 역시 전주시가 1,361개소로 가장 많았다. 노인여가 복지시설수는 전북 순창군과 진안군이 각각 32개소와 29.7개소로 나란히 1,2위를 차지했다. /홍민희기자·minihong2503@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