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귀촌 정책 재점검 필요하다
전북도를 찾는 귀농귀촌인구가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베이비부머들의 은퇴가 본격화되고 복잡한 도시생활을 떠나 농어촌에서 제2의 인생을 시작하겠다는 사회적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음에도 전북에서 새로운 터전을 잡겠다는 분위기가 좀처럼 살아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지난 2016년 1만6935호에 달했던 귀농귀촌 가구 수는 2017년 1만6400호로 줄었고 지난해 말에는 1만5400호로 감소했다. 전북에 거주하는 귀농귀촌 인구수 역시 4만5000명으로 전국 대비 4.6%수준에 불과한 수준이다. 지난 2014년부터 올해까지 해마다 예산을 늘려가며 무려 523억 원의 사업비를 투자, 유치사업을 벌였지만 기대한 만큼의 성과를 올리지 못한 것으로 전북도의 정책에 심각한 허점이 있음을 확인케 하는 결과가 아닐 수 없다. 실제 인근 전남의 귀농귀촌 인구는 8만4000명을 넘어섰고 경북이나 경남은 각각 11만 명에 달할 만큼 괄목할 만한 실적을 보이고 있다.
물론 최근 들어 귀농귀촌 인구가 줄어들고 있는 건 사실이다. 농림축산식품부가 발표한 ‘2018년 귀농어·귀촌인 통계’에 따르면 2018년 귀농귀촌인구는 49만330명으로 전년대비 5.1% 줄었다. 그러나 이는 2017년 귀농귀촌 인구가 크게 늘어난데 따른 기저효과와 경제상황 등이 감안된 일시적인 현상일 뿐 장기적으로 귀농귀촌 인구가 늘어날 것이라는 데는 이견이 없다.
전북이 지금처럼 전국의 귀농귀촌 희망 가구들로부터 매력적인 지역으로 다가가지 못하는 상황이 이어진다면 이를 통한 새로운 성장 동력 확보를 통한 지역 활력 찾기는 힘들어질 수밖에 없단 점에서 우려스러운 대목임이 분명하다. 비수도권 지자체 모두가 예외 없이 귀농귀촌 정책을 최우선 순위에 놓고 치열한 유치경쟁이 벌어지고 있단 점에서 더욱 그렇다.
다양하고 효과적 유치 전략을 통해 타도와의 분명한 차별성을 부각시켜 관심을 끌어왔는지. 지역으로 옮겨온 이들의 성공정착을 위해서도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않았는지. 그리고 이들의 성공정착을 전국에 알려 다시금 전북에 관심을 갖도록 하는 선순환의 유치노력에 허점은 없었는지 처음부터 재점검해야 한다. 당장의 효과에 급급해 졸속으로 추진해 예산만 낭비한 정책은 없었는지 지금 살펴보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소멸위기에 놓인 농촌에 인구가 늘고 있다는 희소식이 전북여기저기에서 들릴 수 있어야 그나마 희망을 가질 것 아닌가.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