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들의 지역과의 상생을 위한 노력이 여전히 기대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기관들이 발주하는 각종 사업이나 기관운영에 필요한 각종 경영활동에 있어 지역 업체들을 활용해 지역경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란 예상을 했지만 최근 드러난 전북혁신도시내 주요기관들의 이에 대한 노력의 흔적은 희미했기 때문이다.
최근 도의회 최영심의원(정의당)이 한국국토정보공사, 한국전기안전공사,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한국식품연구원 등 4개 기관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2016년부터 3년 동안 이들 4개 기관이 체결한 수의계약은 총 696건에 금액으로만 279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중 전북업체와 계약된 사업은 121건에 금액으로는 고작 30억 원에 불과했다.
도내 업체가 이들 기관이 발주한 각종 사업에 자격이 미달되거나 경험부족 등으로 부적격 판정을 받았다면 할 말은 없다. 오히려 그런 업체를 지역기업이란 이유로 선정했다면 비판을 받아야 한다. 하지만 수의 계약한 내용을 살펴보면 홍보팜플렛 발주에서부터 유니폼제작, 사업장폐기물 운반, 근조화환 장례용품배송서비스, 복사용지까지 전북업체를 외면하고 서울이나 광주, 대전, 인천 등지에 본사를 둔 업체와 계약을 맺었다. 심지어 화장실 비데유지보수나 방재 업무까지 타도 업체를 이용했다.
지난 국정감사 기간 중 농업진흥청이 최근 5년간 홍보물제작의 73%를 타 지역 업체와 수의계약을 맺었던 게 드러나 논란이 일었는데 이런 일이 전북혁신도시 주요공공기관에서 다반사로 진행돼왔던 것이다. 지역과 상생 하겠다는 의식자체가 결여된 것에 다름 아니고 기관들 스스로가 지역과는 상관없는 정부산하외인부대로 지내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해도 과언이 아닌 사례가 아닐 수 없다.
정부가 공공기관을 지역으로 이전토록 한 이유는 수도권에 집중된 인구와 산업을 지방으로 분산, 지역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였다. 그리고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2차 공공기관과 공기업이전을 준비 중에 있다. 하지만 지금 지역 이전 공공기관들처럼 지역과 겉도는 상황이 재현된다면 기관 이전이라면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빚도 별로인 개살구가 생색만 내는 상황은 필요 없다. 혁신도시 공공기관들의 불편함 해소를 위해 지금까지 지자체와 도민들이 기울인 노력이 아깝다는 생각이 들게 해선 안 된다. 혁신도시공공기관들의 보다 적극적인 상생 노력을 촉구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