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4년 간 전국 13개 대학 학생부종합전형(학종) 합격 현황이 과학고, 외고와 국제고, 자율형사립고(자사고), 일반고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인재, 농어촌 같은 고른 기회전형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다는 분석이다.

교육부가 5일 ‘2016~2019학년도 13개 대학 학종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13곳은 건국대 경희대 고려대 광운대 동국대 서강대 서울대 성균관대 연세대 춘천교대 포항공대 한국교원대 홍익대다.

내부 9명과 외부 15명으로 구성한 실태조사단에 따르면 13곳 4년 간 학종 고교 유형별 합격률은 서열화된 고교 순서와 동일하다고 했다.

과학고와 영재학교 합격률이 26.1%인데 반해 일반고 학생은 9.1% 합격했다. 외고 국제고는 13.9%, 자사고는 10.2%다.

이 중 일부 대학은 서류평가체계를 통해 졸업자 진학 실적이나 고교유형별 평균 등급을 제공하는 등 특정 고교 유형이 우대받도록 했다.

특기자 전형에선 어학 능력을 자격 평가요소로 설정, 특정 고교 학생이 일부 계열 합격자의 70%를 차지하기도 했다.

지역인재, 농어촌, 특성화고, 차상위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고른기회 전형 비율은 등록인원 기준 8.3%로 낮은 편이다. 2019학년도 전체 전국 대학 11.1%, 수도권 대학 8.9%에 못 미친다.

지역별 학종 진학비중의 경우 서울은 27.4%, 광역시는 22.0%, 중소도시는 35.7%로 중소도시가 높다.

그러나 전체 고교생 대비 각 지역 학생 비중이 서울 17.2%, 광역 25.3%, 중소도시 42.9%임을 고려했을 때 13곳의 서울 학생 비중이 매우 높은 편이다.

이밖에 자기소개서나 추천서 편법기재 및 표절, 학생부 기재 금지 정보 기재, 시스템상 시간이 부족한 서류평가, 평가 세부요소 및 배점 공개수준 미흡, 입학사정관의 낮은 역량을 꼽았다.

교육부는 비교과 영역을 축소하는 학종 개선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그러나 전북지역 교육계에선 일부 대학 조사결과를 일반화하는 건 무리며, 이 시기 실태조사는 오해를 살 수 있다고 언급한다.

이기종 전북교총 회장은 “실태조사의 취사선택 여부를 우리로선 모르나, 대통령 정시확대 발언 이후 교육부가 다급해 보이는 건 사실”이라며 “실태조사를 깊이 있게 진행해 학종에 제대로 반영했으면 한다”고 밝혔다.

전북교육청 관계자는 “대학이 가장 바쁜 학종 전형 실시 기간 실태조사하고 정시 확대 발언도 했다. 학종을 개선하는 게 아니라 문제점을 강조하고 대학 전형에 영향을 미치려는 의도로 보일 수 있다”며 “일부 상위대학을 통해 학교교육 전체를 바꿀 수 있어서다. 이는 교육과정과 입시 엇박자를 불러올 것”이라고 짚었다./이수화기자‧waterflower20@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