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분기 경제성장률이 0.4%에 그치면서 당초 우려했던 연간 성장률 2%를 밑돌 가능성이 커졌다. 이는 당초 예상했던 0.5~0.6% 성장률을 하회하는 것으로 지난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2%를 밑돌았던 적은 없었다. 경제 저성장이 고착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음은 물론이다. 대외경제 여건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고 내수부진이 심해지면서 디플레이션에 대한 경고 역시 끊이지 않고 있다.
한은이 최근 발표한 3분기 국내총생산(GDP)증가율은 0.4%로 지난 2분기 정부지출 확대로 1.0%반짝 상승 이후 다시 추락했다. 정부 강제부양 효과로 인한 인위적인 상승률의 한계만 확인한 것으로 연간 2% 성장이라도 달성하려면 마지막 4분기에 0.97%이상의 성장률이 나와야 한다.
특히 성장률이 2%를 밑돌던 시기는 1956년 한국전쟁여파가 극심했던 해와 1980년 석유파동, 1998년 외환위기, 그리고 2009년 금융위기 때의 단 4차례에 불과했기에 심리적인 경제적 위기감 역시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저성장 저물가 위기에 민간소비와 투자가 갈수록 위축되는 것에서도 불안감 확산을 확인할 수 있다. 정부는 모든 수단을 모두 활용해 2% 이상 성장률을 달성하겠다고 나섰지만 취약해진 우리의 기초경제 체력이 이를 뒷받침 해줄 수 있을지 의문이란 지적이 나올 만큼 지금 경제는 심각한 위기다. 
여기에 최근 중소기업들은 주52시간 근로시간 단축 확대에 대해 준비가 되지 않았다며 유예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상황이다. 문재인정부가 출범한 직후부터 지금까지 고수하고 있는 소득주도성장 정책이 한계에 왔다며 더 이상의 효과도, 지속성도 없는 세금만 축내는 경기부양정책은 재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경기부양책의 효과가 실질적으로 국민이 체감하는 수준이 돼야지 성장률수치 맞추기에 급급한 정책에 불과한 아무런 실효성 없는 결과로 이어진다면 이는 안 하니만 못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미중 무역전쟁에 일본 수입규제로 한국무역이 최악의 상황에 직면했음에도 이런 위기에 앞장서서 대응책을 모색하고 협력하고 지원해야할 정치권은 오히려 국민적 갈등과 불안만을 조성하고 있다. 한마음으로 총력대응해도 쉽지 않은 심각한 경제위기가 눈앞이다. 싸움의 정치판이라 해도 경제문제 만큼은 정관민이 예외일수 없음을 보여줘야 한다. 성장촉진은 고사하고 국민 삶이 주저 않게 생겼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