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립국악원(원장 이태근) 교육학예실(실장 김용호) 교수음악회 ‘新신 進진宴연儀의軌궤 1902’가 29일 저녁 7시 30분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모악당에서 펼쳐진다.
  ‘진연의궤 1902’는 고종의 즉위 40주년을 기념하고 보령 51세의 이른바 망륙지년을 축수하기 위해 임인년(1902, 고종39)에 행했던 잔치의 전말을 기록한 <진연의궤>이다.
  고종의 진연의궤에 사용된 정재악장의 춤과 음악, 준비된 음식을 연계하여 궁중연희 관련 장악원의 전악 그리고 궁궐 밖 명창, 명인의 전통음악을 교육학예실 각 전공별 교수들의 심도 있고 완성도 높은 작품으로 선보인다. 이를 통해 조선 발상지 전라북도의 위상과 전통예술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공연은 총 일곱 개의 프로그램으로 구성했다.
  첫 번째 무대는 ‘효, 어버이를 잘 섬기는 일’의 융합이다. 궁중정재 ‘춘앵전’은 국가의 큰 진연에 자주 등장하는데 춤과 더불어 모정의 극진함이 더해진 효성은 궁궐의 잔칫상으로 이어져 산해진미의 다양한 음식과 종이나 비단으로 만든 상화를 꽂아 그 효와 화려함을 더했다.
  두 번째 무대는 ‘선미, 감칠맛’의 융합이다. 성금연류 가야금산조는 가장 많이 연주되는 산조로 장단은 진양·중모리·중중모리·굿거리·자진모리·휘모리로 짜여있다. 장단 구분에서 굿거리가 삽입되어 있는 점이 특징이며 다른 유파에 비하여 간결하고 경쾌하며 감칠맛이 있다. 감칠맛을 논할 때 전통음식 중 고추장을 빼 놓을 수 없다.
  세 번째 무대는 ‘해원, 원통한 마음을 풂’의 융합이다. 씻김굿은 가야금 병창에 각 연행을 부분 간추려 하나의 작품으로 다시금 다듬어져 그 시절 궁궐 밖 서민들의 염원을 들어 볼 수 있게 만들었다. 바로 그 시절 그러한 해원 속에 잠시나마 허기를 채웠던 음식이 뜸북국이다.
  네 번째 무대에는 ‘화, 화려함’의 융합이다. 교방굿거리는 화려하면서도 절제된 전통의 춤이다. 그러한 춤과 교방에서의 금상첨화는 교방 교자상으로 꽃밭을 한 상 받는 듯 그 상차림이 오색찬란하고 화려하다. 그 중 인기가 높았고 특별한 음식은 ‘잡채’였다.
  다섯 번째 무대는 ‘반, 되도는 것’의 융합이다. 세종 때부터 있었던 악곡으로 ‘천년만세’라는 명칭은 세 가지의 도드리를 하나로 묶어 부르는 아명이다. 도드리란‘되도는 것’즉 ‘돌아든다’ 라는 뜻이다.
  여섯 번째 무대는 ‘황, 호남평야’의 융합이다. 농요가 울려 퍼지던 우리의 호남평야는 김제시를 포함하여 전라북도 서쪽에 있는 광활한 농경지를 뜻하며 우리나라 제일 곡창지대로 현재 전국 쌀 생산량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렇듯 우리나라의 대표 향토민요인 ‘육자배기’는 전국 최고의 곡창지대이며 드넓은 호남평야에서 제일 많이 불린 농요라 말할 수 있다.
  마지막 일곱 번째 무대는 ‘대동, 온 세상이 번영하여 화평하게 됨’의 융합이다. 대동 굿이 한바탕 치룰 때면 우리는 하나가 되었고 큰 용기와 희망을 가졌다. 특히 한바탕 큰 대동 굿이 울릴 때면 술이 빠질 수 없었다. 탁주는 농사일을 하다 마시면 든든한 끼니도 되고 농민의 애환을 달래는 위로도 되었다.
  현재 인터넷 예약은 매진됐으며 공연 당일 1시간 전부터 현장 좌석권을 선착순 무료 배부한다.
/이병재기자·kanadasa@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