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처리가 지연되고 있는 탄소소재법개정안의 조속한 처리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탄소산업관련 업무를 총괄하는 헤드타워 필요성을 담은 개정안이 국회심의 단계에서 수년째 방치되면서 결국 국내 탄소산업 육성과 발전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탄소융합산업연구조합의 97개 회원사가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 국가차원의 탄소산업컨트롤 타워(한국탄소산업진흥원)가 조속히 설립될 수 있도록 해달라는 건의안을 제출할 정도로 지금 국내 탄소산업은 강력한 단일대오를 형성하지 못하고 있다. 미래 한국 경제 핵심 축으로 성장시키겠다는 의지는 있지만 이를 실천하기 위해 정부와 업계가 공유할 수 있는 구체적 로드맵이나 협력체계가 겉돌고 있어서다. 
특히 지난 2017년에 국회 정운천 의원이 개정안을 발의해 2018년 2월에 산자중기위원회까지 통과 했지만 1년8개월이 된 현재까지도 법사위에 계류 중일 만큼 정치권은 이에 대해 무관심으로 일관하고 있다.
탄소산업 기술 기술력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선 업계 스스로의 노력과 함께 정부의 지원과 협조 역시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미 탄소강국이라 할 수 있는 일본이나 미국, 유럽들도 국가차원의 핵심적 컨트롤 타워를 중심으로 업계와 힘을 합쳐 국가핵심전략 산업의 기틀을 다져가는 상황이다. 그런데 이들 보다 더한 지원과 노력이 있어야만 겨우 경쟁할 수 현실임에도 우리는 정부역할의 가장 기본 단계인 컨트롤타워 설립에서부터 국회 무관심과 소모적인 이해관계가 개입되며 표류하고 있는 것이다.
더욱이 반도체 부품에 국한됐던 일본 수출 규제가 1천112개 품목으로 확대하면서 탄소섬유 등이 직접적인 타격을 입고 있다. 자동차나 항공기 제조에 필수적인 탄소섬유는 시장의 70%를 일본기업들이 장악, 국내 기업들이 대체공급처를 찾지 못해 큰 고통을 받는 지금이다.
일본 경제보복에 대응하기 위해 의존도가 높은 소재와 부품의 국산화를 서둘러 함은 두말할 나위 없다. 하지만 이를 위한 연구개발과 설비투자 확대 등을 위해 정부가 나서야할 첫 단계인 컨트롤타워 설립조차 표류하고 있다니 말이 되는가. 탄소소재법개정안이 이번 국회에서 통과되지 못한 다면 탄소소재 산업 육성이 실기를 할 수도 있음을 국회는 명심해야 한다. 탄소산업 발전의 결정적인 발목을 잡고 있는 국회란 비난은 이제 그만 들을 때도 됐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