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대표 관광지인 무주구천동과 정읍내장산이 계속되는 외국인관광객 감소에도 관광특구라는 이름이 무색하게 대책 없이 방치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정부예산만 축내는 관광특구는 해제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까지 나와 보다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문체부가 국회 한선교의원에게 제출한 ‘관광특구 지정현황’에 따르면 전국 33개 관광특구중 14곳의 최근 5년간 방문 외국인 관광객 수가 연간 10만 명도 되지 않았다. 이중 전북의 관광특인 무주구천동의 지난해 외국인 방문객은 8826명에 불과했고 정읍 내장산 역시 1만602명으로 확인됐다. 관광 진흥법에 따라 최근 1년간 외국인 관광객 수가 10만명이상(서울특별시 50만명)인 지역의 단체장이 신청하면 시·도지사가 협의를 통해 관광특구를 지정하게 되는데 전북의 두 곳 특구 모두가 최근 5년 동안 50만 명 미만의 외국인 방문, 이 기준을 채우지 못할 정도로 관광산업이 위축되고 있는 것이다.
전북을 대표하는 국립공원으로 그 명성을 잃지 않고 있는 유명관광지인 이곳은 이미 1997년부터 관광특구로 된 상황이다. 특히 전국최고 가을 단풍 관광 명소인 내장산, 여름 휴가철은 물론 겨울스포츠 메카로 인정받는 무주구천동이 관광특구를 지속하기 힘들 정도로 외국인이 줄었다는 것은 충격이 아닐 수 없다. 국내 명소에 이어 외국인이 한국에 오면 들려봐야 하는 곳이란 이미지 심어주기에 실패했음이고 과거 명성 기대 특구활성화를 위한 지속적 노력에 두 손 놓은데 따른 필연적인 결과는 아닌지 심각한 반성이 필요한 대목이다.
전국 시군들이 관광특구 지정에 사활을 걸고 있는데 기존 특구의 유지활성화 실패로 전국적인 문제 특구 반열에 올랐다는 것은 해당 지자체는 물론 이를 꾸준히 점검하고 관리 했어야할 전북도 역시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계절에 관계없이 사계절 방문이 가능한 프로그램 개발에서부터 현재와 미래의 한국대표관광지로 각인시키는 다양한 홍보전략 마련에 이르기 까지 총체적인 활성화대책이 서둘러져야 한다. 지정만 해놓고 육성 발전을 등한시해 전국 특구 3곳 중 1곳이 기대이하의 성과를 보이도록 한 정부 책임 역시 가볍지 않음은 물론이다.
관광혁신을 통한 경제 활력을 위해 2022년까지 외래 관광객 2300만 명, 관광일자리 96만 명 창출을 목표로 세웠지만 이를 가장 기본적으로 뒷받침해야 할 관광특구부터 흔들리고 있다. 지자체와 협력한 정부의 관심을 촉구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