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가 거듭될수록 과소화·고령화되는 농촌 지역의 ‘생활 돌봄’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귀농·귀촌 등의 청년 인력을 활용한 일자리 연계 주장이 제기됐다.
특히 이 주장은 상대적으로 사회관계망에서 배제되고 있는 현재의 농촌 지역 현실 여건을 고려했을 때 상당한 설득력이 있고, 원주민과 이주민(귀농·귀촌자, 다문화) 간의 ‘관계 맺기’ 차원의 효과도 거둘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가 나오고 있다.
전북연구원은 14일 ‘농촌지역 생활 돌봄과 청년일자리 정책방안’을 주제로 한 이슈브리핑을 통해 농촌지역 생활 돌봄 서비스를 청년 일자리와 연계해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농촌 주민은 생활상의 다양한 복지 수요를 갖고 있지만 절대적 복지 인프라 부족과 보완 시스템 미흡이 현실인 만큼, 청년 일자리를 통해 농촌의 생활 돌봄 서비스를 강화해 가자는 취지다.
또, 기존 공적 부조 방식의 사회복지 서비스 지원을 받지 못하는 사회적 취약계층에 대해 농촌사회가 적극 개입, 농촌 주민의 생활 돌봄을 채우기 위한 세밀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게 연구원의 설명이다.
연구원이 제안한 구체적 프로그램은 크게 3가지로 요약된다.
우선, 생활서비스 제공을 주요 사업으로 하는 사회적경제 조직이 다양한 생활 돌봄 수요에 대응하는 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귀농·귀촌) 청년의 직원 고용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이와 함께 지역사회 주민공동체 조직(주민자치회, 마을회, 농업인단체, 시민사회단체, 농업인 학습조직 등)이 다양한 생활 돌봄 서비스 제공을 담당하는 (귀농·귀촌)청년을 직접 고용하고 관련 사업·활동을 지원하는 방안이다.
아울러 농촌지역 생활경제권인 읍·면의 행정조직(주민자치센터)에 다양한 생활 돌봄 수요에 대응하는 담당 인력으로 (귀농·귀촌) 청년을 고용하고 관련 프로그램을 운영하자는 것이다.
연구를 맡은 전북연구원 황영모 박사는 “한 명의 아이를 키우는데 온 마을이 필요하듯 ‘주민행복은 지역사회 전체가 담당한다’는 사회적 규범을 마련하고, 외부에 의존하기보다 농촌 내부의 인적자원을 활동주체로 하는 역할 찾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유승훈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