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발병 후 잠시 주춤하는 듯 했던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최근 빠른 속도로 확산되면서 국내 돼지사육 농가들의 긴장이 다시 고조되고 있다. 경기 파주, 연천, 김포에 이어 강화군에서도 또다시 의심사례가 발생하면서 이제 본격적인 확산추세에 접어든 것 아니냐는 우려의 진단까지 나온다.
ASF 발병농가들이 일단 경기 북부지역에 한정돼 있고 지리적으로도 기존 발생 지역을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는 점을 들어 확산 세는 아니라는 정부 발표에도 계속되는 의심사례 발생에 양돈업계는 초비상이다.
전북도 예외는 아니어서 도지사를 중심으로 수시 방역체계 점검에 나서는 등 유입차단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도내 거점소독시설을 처음 6곳에서 14개 시군으로 확대했고 양돈농가가 밀집한 군산, 익산 등지엔 검역소를 추가 설치, 모두 19곳에서 모든 축산차량의 방역소독이 이뤄지고 있다.
도내 양돈 농가에 대한 전수조사 결과, ASF 확진을 받은 경기도 농가와 역학적인 연관성도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정읍, 익산, 김제, 진안의 방역취약 농가 154곳에 대해선 이미 바이러스 조사를 마쳤고 모두 ‘음성’판정을 받은 만큼 지자체들의 ‘차단’ 노력이 얼마만큼 성과를 내느냐에 따라 확산여부가 결정될 전망이다.
하지만 전북에서 사육되는 돼지만 전국 12%에 달하는 135만여 마리다. 한번 뚫리게 되면 백신도 없고 치료약도 없어 사실상 치사율 100%의 기세로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될 수밖에 없는 ASF이기에 지금 방역태세에 안심할 수 없음이고 지나치다 싶을 만큼 총력 대응을 한다 해도 큰 걱정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더구나 ASF가 발병한지 열흘이 됐는데도 유입이나 전파경로 마저 확인되지 않은 상태라 언제 어디에서 발병할지 아무도 예측할 수 없다는 게 양돈농가들은 더 큰 불안이다. 양돈 산업 생태계를 뿌리째 흔들어 놓을 심각한 위기에 직면했지만 유일한 대책이 더 이상 확산을 막는 일  밖에 없으니 더욱 걱정이 아닐 수 없다. 
철저한 방역시스템 구축을 통한 선제대응에 한 치의 소홀함도 없어야 한다. 양돈농가는 물론 일반의 경제생활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밖에 없는 재난수준으로 인식해 대처해야 한다. 26일 발령중인 전국 가축 일시 이동 중지명령이 48시간 더 연장됐고 ASF관리지역도 경기, 강원 6개시군 에서 경기도, 인천광역시, 강원도등 3개시도로 확대됐다. ASF 확산이 심각하게 우려된다는 의미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