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및 지역 균형발전’ 정책이 현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로 설정된 가운데, 민선 7기 전북도가 동서내륙경제벨트(전북~대구·경북)의 구체적 협력방안을 마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국토발전축을 과거 남북중심축에서 동서중심축으로 전환해 국토균형발전과 국가경쟁력 제고를 꾀하고, 나아가 동서화합이란 시대적·정치적 숙원 해결 기반도 조성할 방침이다.
이에 도는 전북(환서해)과 대구·경북(환동해)을 잇는 동서내륙경제벨트 협력 사업 발굴을 위해 양 지역의 연구원(싱크탱크)을 필두로 공동포럼 개최 및 교류협력방안 구체화를 내년까지 마무리 할 계획이다.
그동안 역대 정권들은 국토발전 축을 경부축과 남북축 중심으로 전개해 왔다.
이로 인해 지역 간의 각종 불균형이 심화되고, 동서 발전 축이 상대적으로 소외되는 부작용도 감수해야 했다.
정부와 도는 민선 7기 전북발전 전략에서 한반도 신 경제구상과 연계한 동서내륙경제벨트가 강조됨에 따라 동서 내륙축의 재설정 및 동서통합 기반 조성의 필요성에 공감하게 됐다.
도는 경부축과 남북축 중심의 국토발전 축에서 동서 축으로의 전환을 위해 전북과 영남을 연계하는 동서내륙경제벨트 조성 방안을 제시한 바 있다.
도는 우선 국토 발전축의 변화과정 및 주요 특징, 경부축과 남북축 발전에 따른 지역불균형 사례를 연구하는 동시에 전북과 영남을 연계하는 동서축 발전의 필요성, 추진 논리를 개발할 예정이다.
이어 한반도 신 경제구상과 연계한 동서내륙경제벨트의 위상과 기능을 정립하고, 산업, 문화관광, 생태환경, SOC 등 주요 분야별 연계 협력 및 벨트화 방안을 구축할 고안이다.
현재 전북과 경북은 ‘스마트팜 혁신벨리 사업(김제, 상주)’ 및 ‘홀로그램 기술개발 사업(익산, 구미)’ 등 다수의 정부 주도 사업을 동시에 추진하고 있어 상생을 통한 교류 협력이 이뤄질 경우 상호 공동발전 할 수 있는 긍정적 효과를 낼 것이란 분석이다.
아울러 산업벨트와 함께 가야 역사문화와 동학농민혁명을 기반으로 한 문화관광벨트, 국립공원을 중심의 백두대간 생태벨리, 스마트 물류기지, 철도 및 고속도로 등 광역 SOC 인프라 확충 등을 추진하면, 동서를 기능적으로 연계해 국토 내륙의 균형발전과 동서화합의 계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송하진 지사는 23일 간부회의 자리에서 “(동서내륙경제벨트 협력방안 구상은) SOC에 대한 관심을 넘어서 콘텐츠(소프트웨어)와 농업, 제조업 등으로 넓게 바라봐야 한다”며 “현재 많은 사업들이 양 지역에서 함께 이뤄지고 있는 만큼, 더 많은 사업 발굴과 협력을 통해 상호보완하면서 모두가 발전하는 그림을 그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승훈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