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과의 무역분쟁이 장기화 되고 있는 가운데 규제 범위가 농수산식품으로 번질 가능성에 대해 관계당국이 철저한 대비에 나서고 있다.

지난 7월 31일 전라북도는 올해 상반기 도내 농수산식품 수출액이 전년동기대비 10.2%나 증가했다고 밝혔다.

전국 농수산식품 수출증가율이 2.1%인 것과 비교해봐도 다섯배가 넘는 증가세를 보인 것이다.

특히 올 상반기 도내 농수산식품의 일본 수출액은 2,466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7.6%나 증가해 오르기 까다로운 일본 식탁을 사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마냥 안심할 수 많은 없는 상황이다. 지난 7월 1일 일본 경제산업성은 한국으로의 수출관리 규정을 개정해 스마트폰과 TV에 사용되는 반도체 등의 제조과정에 필수요소인 3개 품목(불화수소, 포토레지스트, 플루오린 폴리이미드)의 수출을 제한하기로 결정했다.

이것에 그치지 않고 화이트 리스트, 즉 신뢰할 수 있는 수출 대상 국가에서 한국을 제외시키는 등 한국 기업의 발목을 옥죄어왔다.

문제는 이런 규제 분위기가 풀릴 기미를 보이지 않는 데 있다. 현재는 전략물자의 수출 규제에 한하지만 상황이 악화될 경우 공산품을 넘어 농수산식품의 수출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리라는 불안감이 기저에 깔려있는 것이다.

다행히 현재까진 농수산식품의 대일 수출 분위기는 '이상 무'다. 무역분쟁에서 비켜나 '무풍지대'로 남을 것 이라는 기대감도 곳곳에서 들려오는 상황.

특히 전북의 경우 전체 수출액의 14%가 일본에서 창출되고 있고 파프리카는 전체 생산량의 40~50%가 일본으로 수출되는 등 일본으로의 수출 의존도가 높은 지역이어서 이같은 상황이라면 하반기 목표 수출액 달성에도 영향은 없을 것이라는게 전북도의 입장이다.

하지만 이번 무역분쟁 위기를 통해 일본의 수출의존도를 줄이고 체질 개선을 해야 한다는 주장도 거세다. 이에 따라 관계기관들은 안전성 관리 및 수출 시장 다변화 등 다각도로 검토에 나섰다.

전북도의 경우 신선농산물 1000여 농가에 수출물류비를 지원하는 한편, 배와 토마토 2개 품목에 대해 수출전락품목으로 육성에 나섰다.

최대 농수산식품 수출국인 중국을 넘어 홍콩, 대만 등 중화권 시장개척을 위한 수출 마케팅도 강화하고 정부의 신남방정책에 발맞춰 동남아시아(베트남) 등 신흥 농식품 수출국 시장 개척에도 힘쓴다는 계획이다.

농촌진흥청도 팔을 걷어부쳤다. 일본이 농수산식품 수출 규제를 시작한다면 가장 먼저 통관과정 중 안전성(잔류농약) 위반 제재를 가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향후 일본이 검역강화를 하더라도 문제가 되지 않게 수출농가 대상으로 맞춤형 컨설팅 및 안정성 교육을 강화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실제로 일본 수출 채소류 안전성교육과 위반현황을 살펴보면 2017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단 한건도 위반되지 않아 교육의 효과가 입증됐다.

또한, 병해충이나 잔류농약 초과검출 발생 시 수출농업지원과에서 긴급·수시 컨설팅반을 운영해 검역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5년간 총 30품목에 대해 수출 유망품목으로 발굴하는 육성 사업도 올해부터 시작해 시범수출을 확대해가고 있다.

농진청 관계자는 "현재까진 일본이 농산품 수출입 관련 압박을 강화하려는 조짐을 보이진 않는다"며 "수출규제 대응을 넘어 우리 농산물에 대한 안정성을 강화하고 시장 다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홍민희기자·minihong2503@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