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박근혜 정부 당시 ‘창조경제 및 문화융성’이란 정부 정책에 발맞춰 문화콘텐츠산업을 지역 신성장 동력으로 추진한 전북도가 이렇다 할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성장 잠재력이 큰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해 지난 2016년 설립된 ‘전라북도문화콘테츠산업진흥원(이하 진흥원)’ 역시 시대적으로 고도화되는 트랜드를 따라잡지 못한다는 지적을 받으며, 연관 기업 지원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는 목소리다.
이에 업계 일각에서는 기존의 단타성 및 보여주기식 위주 사업에서 벗어나 연속성을 갖는 장기적 플랜을 바탕으로 한 기업지원이 이뤄져야만 제대로 된 문화콘텐츠 상품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아울러 도와 진흥원 주관 등의 각종 콘텐츠 사업 추진 시 서울 중심의 업체 선호 관례에서 벗어나 기회부여 차원의 지역 업체 우선 배려 정책이 함께 병행돼야만 미래먹거리로서의 문화콘텐츠 산업의 파이를 넓힐 수 있다는 혜안도 부각되고 있다.
16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김수민 의원(바른미래당·비례대표) 의원이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콘텐츠 산업 지역별 매출액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7년 기준 전북의 문화콘텐츠산업 총 매출액은 6964억 원으로 전국 총액(113조)의 0.6%에 불과했다.
전북의 관련 산업 매출액은 지난 2013년 5277억, 2014년 5257억, 2015년 5351억, 2016년 6123억, 2017년 6964억 등으로 해마다 소폭 상승했지만, 전국 대비 비중은 0.5%~0.6% 수준을 넘지 못하는 ‘제자리걸음’ 상태에 그치고 있다.
물론, 관련 산업의 매출액이 서울(64.1%)과 경기도(20.9%)에 집중된 나머지 지방들의 매출액 추이는 별반 다르지 않는 상황이긴 하지만, 8개 도 단위 지역(경기 제외)을 비교했을 때 강원을 빼고는 전국 최하위 수준을 면치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역별 사업체 수 현황을 살펴보면, 전북은 총 2942개(종사자 8820명)로 전국 대비 2.8%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김수민 의원은 “4차 산업혁명시대 대한민국 먹거리 산업 분야가 문화콘텐츠인데, 서울과 경기도에만 과도하게 집중돼 있어 지방과의 문화 양극화가 경제 양극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하면서 “범정부 차원의 중자기 문화균형발전 방안을 신속하게 수립해 대응에 나서야한다”고 강조했다.
도내 한 업계 관계자는 “정부 차원의 큰 틀의 지원도 중요하지만,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 집중 현상은 어쩔 수 없는 현실”이라며 “그 나머지 파이를 넓히기 위해서는 도와 콘텐츠진흥원의 장기적 기업 지원 마인드가 필수적”이라고 꼬집었다.
이 관계자는 “현재 진흥원의 인재육성 및 상품개발 지원은 장기적 관점이 아닌 단기적, 단타성 성과 창출에 포커스가 맞춰져 있다”면서 “이런 상황에서는 고도화되는 트랜드를 따라잡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제대로 된 상품을 개발하기는 힘들다는 생각이다”고 말했다.
한편, 진흥원은 지난 2016년 3월 ‘21세기 전북의 성장 동력을 견인하는 뉴 프론티어’라는 비전 아래 ▲지역 콘텐츠 산업 지속성장을 위한 신 성장 콘텐츠 영역 창출 ▲지역 콘텐츠 기업 전략적 육성 및 창의 인력 양성 ▲지역 특화 콘텐츠 개발을 통한 지역 경쟁력 강화 ▲문화콘텐츠 동반성장 생태계 조성 등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유승훈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