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엔 전북 인구의 40% 가량이 노인인구로 구성되고 전체 인구는 171만 명까지 줄어들어 전국에서 가장 빠른 감소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이러한 가운데 지자체에선 청년층의 역외유출 비율을 줄이고 인구고령화에 대한 지속적인 정책 마련에 시급히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국은행 전북본부가 10일 발표한 '전북지역 인구구조 및 노동공급의 변화 추이와 향후 전망'에 따르면 전북지역 인구규모는 2000년 192만 명에 달했던 것이 2018년엔 181만 명으로 18년 만에 10만9천 여명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연 평균 0.3%씩 감소한 수치다.

이같은 속도가 지속된다면 2030년엔 171만 명까지 줄어들어 2018년 보다 5.5%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같은 기간 전국이 0.6% 상승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연령대별 구성을 살펴봐도 2000년 이후 39세 이하 청년층의 비중은 줄어든 반면 50대~60대 비중은 크게 확대돼 인구고령화가 가파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활동인구의 변화를 살펴보면 도내 인구는 줄었지만 15세 이상 인구가 늘면서 경제활동참가율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2018년 기준 연령대별 비중을 살펴보면 50대(23.9%)와 60대(14.1%)는 큰 증가폭을 보였는데 청년층이라 불리는 15세에서 29세 사이와 30대에서만 감소세를 보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경제활동을 시작하는 시기의 청년층이 도내에서 일자리를 얻는 일도 힘들고, 힘들게 얻은 일자리도 양질의 일자리가 아니라 이탈이 심한 탓으로 풀이된다.

전북의 경우 2030년까지 저출산과 청년층의 이탈 등의 이유로 인구 감소가 꾸준히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60세 이상 노인인구는 2018년 전체 인구의 25.9%에서 2030년 38.8%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했다. 즉, 2030년엔 전북인구 10명 중 4명은 노년층이 차지할 것이라는 뜻이다.

이는 전남(41.4%)과 강원(40.2%), 경북(40.1%)에 이어 전국에서 4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이렇듯 취업전선에 뛰어들어야 할 청년층의 인구는 줄어들고 그들의 부양력에 의존해야 하는 60대 이상 인구가 증가하는 역피라미드 현상이 심화된다면 전북의 성장동력이 자칫 멈추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 상황.

한국은행 전북본부 관계자는 "향후 전북지역 인구구조는 저출산과 청년층의 역외유출 영향으로 고령화가 심화되고 그 결과 노동공급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노동공급의 축소가 성장동력의 약화로 이어지지 않도록 청년층의 역외유출을 줄이기 위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최우선 과제로 추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한 "인구고령화에  따른 노동공급 감소의 영향을 상쇄시키기 위해 스마트팩토리, 인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의 성과를 활용해 추락하는 노동생산성을 제고해야 한다"고 말했다. /홍민희기자·minihong2503@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