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군산에 거점을 둔 ‘강소연구개발특구’ 지정을 정부에 정식 요청 했다. 군산경제 회생을 위해 ‘스마트그린에너지·자동차융복합산업’으로 특화된 특구조성을 통해 지역산업회생과 고요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다. 지난 9일 군산강소특구 유치 요청서를 과기정통부에 제출한 도는 내년 상반기 최종지정을 목표로 본격적인 유치노력을 전개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강소특구는 지역에 위치한 주요 거점 기술핵심기관을 중심으로 R&D특구를 지정해 육성하는 제도다. 기존 특구의 단점을 보완해 연구와 주거, 산업, 문화 등을 집적한 자족한 공간을 조성하는 것으로 지역에 위치한 대학이나 연구소, 공기업을 주축으로 소규모·고밀도 집약공간에서 경쟁력 있는 R&D특구로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도 역시 이에 맞춰 군산대를 기술핵심기관으로 하고 자동차융합기술원 등 지역소재 6개 연구·지원기관을 참여시키겠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강소연구개발특구는 과기정통부가 지난 2018년 7월에 도입해 지난 6월 경기 안산, 경남 김해·진주·창원, 경북 포항, 충북 청주 등 6개 지역이 이미 지정된 상태다. 정부는 이들 6개 지역에서만 2024년까지 1500개 기업 유치, 1만 8600명고용, 9조 3000억 원 매출 등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가져올 전망이란 예상치를 내놓고 있다. 강소특구로 지정되면 각종 세제혜택은 물론 매년 최고 60억 원의 국비도 교부받을 수 있다. 정부가 산업구조 혁신을 통해 오는 2030년까지 세계 4대 제조업강국에 도전하겠다는 목표를 내세운 만큼 강소특구 육성, 지원에 대한 의지 역시 강하게 읽히는 대목이다.
정부의 고용위기지역 지정에도 뚜렷한 지역경제회생 기미가 보이지 않는 군산이다. 이로 인한 여파로 지역에서 동원할 수 있는 경제회생 방안이 있다면 뭐든 동원해야할 만큼 전북경제 침체는 지금도 진행형이다. 늦은 감이 없지 않지만 새만금 신재생에너지 산업, 군산 미래 자동차산업 육성과 연계한 자동차, 풍력, 태양광 등을 활용한 강소특구 육성계획은 타 지역에 크게 앞선 특화된 노하우를 적극 활용할 수 있단 점에서 반드시 내년 추가지정 결정을 끌어내야 하는 이유기도 하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