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0년대 초 국내에 용어조차 통용되지 않았던 ‘탄소산업’은 전북에서 씨를 뿌리고 싹을 틔웠다.
십여 년이 지난 현재 미래 국가경제에 크게 이바지 할 열매로 평가되는 탄소산업은 정부의 국정과제에 포함되는 등 국가적 사업으로 본격 추진되고 있다.
특히, 최근 자행된 일본의 경제보복 조치로 탄소소재 산업의 큰 피해가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홀로 묵묵히 걸어온 전북 탄소산업 역사는 국가경쟁력 향상과 부품소재 국산화의 밑거름이 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의 전북 방문으로 힘이 보태진 전북 탄소산업의 역사와 향후 과제 등을 연속으로 살펴본다./편집자 주
1. “전북이 걸어온 탄소산업의 길은 대한민국 탄소산업의 역사다”
▲전주, 대한민국 탄소산업의 씨앗을 뿌리다=대한민국 탄소산업의 태동지는 전주다.
2006년 기계산업리서치센터(이하 센터)의 강신재 소장은 부품소재산업의 중요성, 특히 ‘탄소소재’의 중요성을 일찍 깨닫고 전북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탄소산업을 송하진 전주시장에게 적극 건의한다.
당시 송 시장은 제조업 기반이 부족했던 전주에 새로운 기회가 될 것으로 판단, 국내 최초로 탄소산업 국산화를 시도하게 된다.
같은 해 7월 산자부의 ‘고기능복합섬유 원천소재 기반구축사업’에 선정됐고, 센터는 탄소섬유를 개발할 수 있는 시스템 기반을 완료한다.
탄소섬유 생산과 관련된 산업 전반을 일컫는 ‘탄소산업’이라는 명칭은 전주시에서 처음 만들어 사용하기 시작한 것이다.
▲전주시 탄소산업, 산학 협력 시작=2007년부터 효성과 공동연구개발을 시작했으며, 2008년 4월에는 효성과 공동으로 탄소섬유 시험생산 플랜트를 구축하게 된다.
같은 해 10월 센터는 기계탄소기술원으로 명칭을 바꿔 탄소산업 전문기관(국내 최초 탄소산업 연구기관 설립)으로 전환된다.
2009년 4월 지자체 중에서는 전국 최초로 탄소산업 담당팀을 신설했고, 투자유치촉진조례를 개정해 탄소산업 기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한다.
같은 해 12월에는 T-300급 범용탄소섬유를 국내 최초로 개발하는데 성공한다.
▲전주시와 효성...대한민국 탄소산업 대표주자 되다=2011년 3월 전주시와 효성은 공동연구개발 3년 만에 T-700급 고성능 탄소섬유 기술을 국내 최초(세계 3번째)로 개발한다.
3개월 후에는 효성과 전주탄소섬유공장 유치에 관한 1조2000억 규모의 투자 협약도 체결한다.
당시 송 시장은 MOU체결 과정에서 ‘전주에 생산공장을 무조건 건립해야 한다’는 조건을 내걸었고, 효성 내부의 반대 목소리 속에서도 이 조건은 이후 관철된다.
▲시민과 함께 이뤄낸 탄소섬유 생산 공장 건립=2012년 효성 공장 착공을 앞두고 송 시장과 전주시는 토지보상금 인상과 관련한 어려움에 봉착한다.
당시 시는 공무원 30여명으로 구성된 전담반을 구성하고, 소유주들을 일대일로 만나 설득작업을 벌였다.
이후 시민들의 자발적 성명 발표와 기자회견, 공장 착공 염원을 담은 익명의 성금 기탁 등으로 2012년 3월 효성은 건축허가 신청 하루 만에 허가증을 발급 받게 된다.   
2013년 4월 전주기계탄소기술원의 명칭은 한국탄소융합기술원으로 바뀌었고, 전북은 명실상부한 탄소연구의 중심지로 부상한다.
같은 해 5월 효성전주공장은 준공했고, 기술원과 효성은 국내 최초로 고강도 탄소섬유 제품인 ‘탠섬’을 출시하면서 연간 2000톤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전북에서 시작한 탄소산업의 국가사업화=도지사 신분이 된 송 지사는 2014년 광역단체 최초로 탄소 관련 전담부서를 설치하고, 전주친환경첨단산업단지를 탄소산업 특화 국가지정산업단지로 개발한다.
2015년 ‘탄소산업 육성 및 지원에 대한 조례’를 도 단위에서 최초로 제정했으며, 2016년 5월에는 ‘탄소소재 융복합 기술개발 및 기반 조성에 관한 법률’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됐다.
무(無)에서 유(有)를 만들어 낸 전북도와 효성은 지난 20일 총 1조원(2028년까지)을 투자해 현재 1개 2000톤 규모의 탄소섬유 생산라인을 10개 2만4000톤까지 증설키로 협약을 맺는다.
/유승훈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